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아이들 눈높이로 세상을 보니 진실이 보였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 영화에서 아이들이 주인공인 경우는 흔치 않다. 쉽지 않은 작업이어서다. 영화를 만드는 것은 대개 어른들이기에, 그 어른의 시선에서 바라본 아이의 세계란 어쩔 도리 없이 왜곡된다. 요컨대 이것은 높낮이와 마음 자세의 문제다. 최대한 아이의 시선으로 내려와 아이의 마음으로 세계를 바라보려 할 때라야, 진실에 가까운 풍경이 빚어지기 때문이다.

'누구든지 이 어린 아이와 같이 자기를 낮추는 사람이 천국에서 큰 자'라는 마태 복음 구절은, 이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를 은연중 드러내준다.

하지만 그 어려운 일을 해내는 인물이 있다. 바로 윤가은 감독(37)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연출과에서 이창동 감독에게 영화를 배웠고, 2016년 아이들을 내세운 장편 '우리들'로 데뷔한 그다. 세간에선 '한국의 고레에다 히로카즈'라는 수식어를 붙이기도 하지만, 그는 이미 제 이름을 고유명사로써 정립시켰다. 윤가은은 윤가은인 것이다.

'우리들'에서 그는 어린 소녀들의 시선으로 내려와 외톨이 '선'과 전학생 '지아'의 우정의 변모를 최대한 투명하게 응시하려 했다. 아이들은 어떻게 감정을 표현하고, 어떻게 대화를 나누는지, 그들의 일상은 어떤 모양과 형태로 빚어지는지를 세밀화처럼 그려낸 것이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집'은 그가 3년 만에 내놓는 두 번째 장편이다. 전작이 '친구'가 방점이었면, 이번엔 '가족'으로 범위를 넓힌다. 공간 역시 아이들 집과 동네, 이름 모를 바닷가로까지 뻗쳐 움직임과 동선을 확장한다. 게다가 이 세계의 아이들은 어른들에게 종속된 객체가 아니다.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움직이며, 그러면서 마주한 난관을 어떻게든 꿋꿋이 이겨내려 한다.

"때는 2015년 가을이었어요. '우리들' 편집에 전념할 때였죠. 극중에 아이들이 상처를 주고 받고 싸우며 감정적으로 미세하게 다치는 과정을 바라보니 힘들더라고요. 아이들에게 미안함이 있었고, 다음 작품에선 뭔가 해내는 이야기, 같이 위로해주는 이야기를 만들자고 생각했어요. 그러다 아이들이 서로를 돕고 자기 가족을 살리 려는 이야기를 구상했고요."

매일경제

윤가은 감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서울 삼청동 한 카페에서 만난 윤 감독의 말이다. 시나리오 쓰는 데만 1년 반 넘게 걸렸다고 한다. 촬영은 지난해 7월 중순부터 9월말까지 총 39회차. "오디션 프로필만 500개가량 봤다"고 했다. 연기학원을 다니거나 에이젼시에 속한 아이들을 일일이 오디션했죠. 마지막엔 즉흥극을 시켰는데, (김)나연이, (김)시아, (주)예림이가 가장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제가 생각했던 캐릭터들 이미지와도 꼭 맞았었고요."

'우리집'은 시작부터 마음을 흔든다. 공간은 하나(김나연)의 집. 카메라는 하나의 흔들리는 시선을 정면에서 응시하고 있다. 소녀의 눈앞에서 부모는 부부싸움에 여념이 없고, 그걸 바라보는 열두 살 딸은 불안하다. 그래서 딸은 말한다. "우리, 밥 먹자 " "아빠, 우리 가족 여행가요."

때는 여름방학 기간이다. 하루는 동네에 사는 유미(김시아)·유진(주예림) 자매가 자꾸만 눈에 밟힌다. 유미는 열 살, 유진이는 여덟 살. 둘은 잦은 이사로 친구가 없고, 부모도 자주 못 본다. 영화는 금세 친구가 되는 세 소녀 일상을 차곡 차곡 쌓아간다. 막내 유진이가 유미의 손바닥에 작은 소라를 쥐어주고, 방울토마토를 건넬 때엔 마음에 마치 봉숭아물이 번지는 듯하다. 극 후반, 바닷가로 나선 세 아이가 두 번의 우연 끝에 이르는 장면은 기어이 마음을 적시고야 만다.

윤 감독은 "아이들 눈높이와 말투에 최대한 다가가려 했다"고 말했다. "키가 작은 만큼 아이들 눈높이로 내려갔죠. 아이들이 보지 않는 걸 카메라가 굳이 따라가 보여주지 않았고요. 그간에 만난 아이들을 되새겨보고 검색도 많이 했어요. 특히나 대사를 정교하게 쓴다기보다 어떤 단어, 문장이 아이들이 쓸만한 말일까를 고민했죠. 그래서 핵심 단어만 고르고 나머진 배우들에게 물어봤어요. '이 말 이상하니?' '혹시 걸리는 게 있니' 하면서."

'우리집'은 결국 아이들 너머 우리들 이야기다. 자기 가족과 집을 지켜내면서 결국엔 자기 자신까지 지키려는 이야기. 윤 감독은 "그 진심이 잘 전해지길 바란다"며 웃음 지었다. "아이들도 어른들과 똑같이 느끼고 반응하고 행동하고 표현하는 존재라는 것. 그러나 그걸 드러내고 발언할 기회가 드물었을 뿐이라는 것. '우리집'을 통해 이러한 점들이 잘 전해지면 좋겠어요.(웃음)"

[김시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