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DLS 사태' 잘못 만들었나, 잘못 팔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조준영 기자] [높은 수익률만큼 높은 위험도는 '당연'…"손해나면 '모두까기'"…증권업계는 "억울"]

머니투데이



독일과 영국금리에 연계한 DLS(파생결합증권)과 이를 자산으로 편입한 DLF(파생결합펀드)의 수천억 원대 손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해당 상품을 판매한 은행·증권사들에 대한 고강도 검사를 벌인다. 앞서 금감원은 DLS 판매현황 등 금융사들로부터 자료를 받아 피해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오전 발표했다.

DLS는 주식·주가지수 외에도 이자율·통화·실물자산 등의 가격변동에 따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이다. 이번에 문제가 된 상품은 독일 국채 10년물과 영국 CMS(파운드화 이자율 스와프) 금리 등을 기초자산으로 만든 DLS·DLF다. 만기시점에 금리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3~5% 정도의 수익을 얻지만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 최대 원금 전액을 손실할 수 있는 '고위험' 상품이다.

하지만 피해 투자자들은 원금상실에 대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며 판매 은행을 상대로 집단소송까지 준비하는 등 '불완전판매' 논란이 벌어졌다.

금감원은 판매책인 은행의 '불완전판매' 뿐만 아니라 증권발행사들의 상품설계까지 들여다본다는 방침이다. 특히 독일 국채금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상품은 다른 측면에서 살펴볼 여지가 있다는 설명이다. 피해상품 중 독일상품을 기초로 한 DLF는 현재 손실률이 평균 90%가 넘어 가장 많은 손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품구조를 적절하게 했는지 최선을 다해 검토한 후 상품을 만들어 판매했는지를 보고 있다"며 "또 은행에서 (증권사)에 만들어달라고 하니 별도의 위험성 검토 없이 상품설계를 해줬는지 등을 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반면 증권업계는 금융당국의 이 같은 인식에 적잖이 당황하는 모습이다. 은행 예·적금보다 높은 수익률이 나는 만큼 위험부담이 높은 건 당연하다는 설명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이득이 나면 아무런 말이 없다가 대규모 손해가 나면 '모두까기' 식으로 걸고 넘어진다"며 "이번 DLS는 금리의 변화추이에 수익률을 맞춘 상당히 단순한 구조"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상품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논리라면 파생결합증권은 하나도 만들 면 안 된다"며 "어느 시점에 어떤 대상으로 팔았고 어떻게 설명했느냐가 더 중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DLS 상품의 판매가격이 제대로 설정됐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송홍선 자본시장연구원 펀드·연금실장은 "최종적으로 소비자한테 제값을 주고 팔았느냐가 문제가 될 것 같다"며 "(증권사가) '리스크-리턴 프로파일'에 비해 값을 과도하게 설정했는지 등을 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융사 내에는 컨슈머오피스(CO)라고 금융소비자 관련 부서들이 있다"며 "어떤 상품을 만들 때 준법·판매 담당들이 참여해 컴플라이언스 절차를 거치는데 감독 당국은 그런 절차를 제대로 거쳤는지를 보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준영 기자 ch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