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부산형 푸드플랜'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市, 통합지원센터 건설 등 추진


부산시가 지속 가능한 공공 먹거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부산형 푸드플랜 사업계획' 수립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부산시는 최근 '부산 푸드플랜 수립 용역'을 발주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에 맞춘 지속 가능한 먹거리 정책과 운영방안을 담은 종합계획을 수립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4월 농림축산식품부가 선정하는 '지역 먹거리 종합계획(푸드플랜) 지원사업' 공모에 시가 최종 선정되면서 연구용역비 1억5000만원(시 예산 포함)을 지원받아 추진한다.

부산은 지난 2018년 8월 국정기획위원회 자료에서 65세 이상 먹거리보장률이 전국 시·도 중 최하위로 조사됐다. 또 급식유통 불량업체·급식 비리 등 시민의 식품에 대한 먹거리 불안감은 전국 최고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기다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 등 먹거리 취약계층이 전체인구 25%에 육박하고, 지역 농산물 수급률은 쌀 5%를 제외하면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과업지시서에 따르면 입찰선정자는 △지속 가능한 먹거리정책 수행을 위한 민관협치 거버넌스 구성·운영 △지역 먹거리 심층 실태 및 시민 인식조사 △부산 푸드플랜 수립 △부산 먹거리 비전 선포식 준비 등을 담은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특히 시는 푸드플랜의 지속적인 관리·운영을 위해 푸드통합지원센터와 로컬푸드 복합문화센터 설립방안도 검토한다. 푸드통합지원센터는 부울경 3개 권역을 아우르는 위치에 인근 지역에서 생산한 로컬푸드를 이용해 두부, 간장, 식초 등 친환경 가공식품을 생산하고 이를 각 공공 급식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 로컬푸드 복합문화센터는 요리교실, 카페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시설에서 지역민을 대상으로 로컬푸드를 알리고 교류하는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demiana@fnnews.com 정용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