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DLS 패닉] 키코 공대위, 우리은행 형사고발 예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박미리 기자 = 키코 공동대책위원회 주도로 발족한 '파생상품 피해구제 특별대책위원회'가 우리은행을 상대로 형사고발을 예고했다. 이 대책위는 최근 수천억원대 손실 우려가 커진 '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증권(DLS)' 투자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해 발족됐다.

뉴스핌

18일 정부서울청사 정문에서 진행된 '키코피해 외면하는 최종구 금융위원장 규탄' 기자회견의 모습. [사진=김진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붕구 키코 공동대책위원장은 "DLS특위에서는 1시민단체와 연대해 우리은행을 형사고발 하는 준비절차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DLS특위가 우리은행을 첫 고발 대상으로 삼은 것은 판매 잔액이 가장 많은 데다, 피해 규모도 가장 클 것으로 관측돼 왔기 때문.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회사의 DLS, DLF 판매잔액은 총 8224억원으로, 이중 우리은행(4012억원), KEB하나은행(3876억원) 등 은행서 99.1%가 사모 DLF로 팔렸다.

조 위원장은 "우리은행은 독일금리가 마이너스로 떨어지는 것을 안 이후 판매에 적극 나섰다"며 "이는 의도성이 다분히 있다고 판단, 그 지점부터 사기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라고 지적했다.

이후 DLS특위는 DLS를 판매한 다른 금융회사도 형사고발할 예정이다. 다만 대상과 절차는 피해자 접수를 받은 뒤 구체화될 것이란 설명이다. 그는 "판매에 가담한 은행원들 전부 형사처벌을 목표로 고발을 하는 것"이라며 "오늘 고발장 작성에 착수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고발장이 완성되면 즉시 연대 시민단체들과 기자회견과 동시에 형사고발장 접수를 할 것"이라며 "사기판매 가담자들을 전부 일벌백계해 은행에서 고위험 파생상품 판매를 근절시키는 계기로 삼겠다"고 했다.

milpark@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