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지구로부터 '2만4000광년'…천문연, 가장 먼 왜소신성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원장 이형목)이 지금까지 발견된 것 가운데 가장 멀리 있는 왜소신성을 발견했다.

천문연은 초신성 탐사 관측 연구진이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을 이용한 초신성 탐사 관측 도중 우리 은하를 감싼 구름인 헤일로에서 거리가 가장 먼 왜소신성 'KSP-OT-201611a'을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전자신문

우리 은하 모습과 이번에 발견한 왜소신성의 위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왜소신성은 밝기가 낮은 신성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어야 발견하기 쉽다. 이제까지 알려진 왜소신성은 대부분 3000광년 이내 태양계 부근에서 발견했다. 반면 이번에 발견한 왜소신성은 우리은하 중심으로부터는 약 4만5000광년, 지구에서 약 2만4000광년 떨어져 있다. 우리은하 평면에서는 55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이번 헤일로에서 발견한 왜소신성은 헤일로를 연구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찾거나 왜소신성 이론과 모형을 개선하는데 중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철 박사는 “탐사 관측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새로운 발견도 가능케 한다”며 “초신성을 관측하던 중 이 특별한 왜소신성을 발견한 것처럼, 앞으로 KMTNet을 이용한 초신성 탐사 관측이 또 어떤 새로운 흥분을 가져다줄지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