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이주열 "美금리역전 원인 이전과 달라…침체 전조 아닐수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답변하는 이주열 총재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2일 오후 계속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19.8.22 toadboy@yna.co.kr



(사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2일 최근 미국의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반드시 경기침체 가능성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현안보고에서 자유한국당 심재철 의원의 경기침체 가능성 질의에 "미국의 현재 금리 역전과 과거의 금리 역전은 배경과 원인이 상이하다"며 이처럼 말했다.

그는 다만 "미국 사례를 보면 1980년 이후로 보면 네 차례 금리 역전 뒤 경기침체가 시차를 두고 나타난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른바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가 근거 없는 것이냐는 질의에는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전문기관 예측을 빌리자면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을 30%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이 올해 전망한 올해 경제성장률(2.2%)의 달성 가능성에 대해서는 "일본 수출규제의 부정적 영향은 아직 감안하지 않았다"며 "여건이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전망수치를 조정할 만큼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다만 "상황이 아주 악화해 수출이나 설비투자 부진 상황이 더 심화한다면 한은이 봤던 성장률 달성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4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와 2년물 금리가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역전되는 현상이 벌어지며 경기침체 우려를 증폭시킨 바 있다. 장기 금리는 단기 금리보다 높은 게 일반적인데, 역전 현상이 발생할 경우 경기침체의 전조라는 인식이 강하다.

pa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