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일본 여아 호흡곤란에…손에 피멍 들도록 응급처지 나선 대한항공 승무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 제공 = 대한항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 객실 승무원들이 헌신적인 응급 조치로 어린 승객의 생명을 구한 사연이 주목받고 있다.

23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지난 8월 18일 오후 4시 35분 서울 김포국제공항을 떠나 일본 오사카로 향하던 대한항공 KE739편 보잉777-200은 오사카 공항에 가까워지고 있었다. 하지만 기장이 착륙을 위한 기내 시그널을 작동한지 몇 분 지나지 않은 오후 5시 50분께 기내에 날카로운 비명이 들렸다.

일반석 중간 부분에 탑승한 일본인 여자 어린이 승객(12)이 갑자기 호흡 곤란을 일으키며 목을 부여잡은 것. 옆에 앉은 어린이 승객의 아버지는 놀라 환자의 입 속 이물질을 제거하려했지만 실패했고, 어머니는 큰 소리로 울먹이며 도움을 요청했다.

이 소리를 듣고 좌석으로 달려온 승무원은 승객의 상태를 보고 기도가 막혀 호흡 곤란이 심해진 것을 확인했다. 아이의 얼굴은 백짓장처럼 창백해지며 의식을 잃어갔고 승무원은 즉각 응급조치를 시작했다. 응급조치는 하임리히법으로 기도가 이물질로 인해 막혔을때 양팔로 환자를 뒤에서 안 듯 잡고 배꼽과 명치 중간 사이의 공간을 주먹 등으로 세게 밀어 올려 이물질을 빼내는 방식이다.

수차례에 걸친 응급조치에도 호전의 기미는 보이지 않았다. 승객은 호흡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의식이 돌아오지 않았으며, 몸은 점점 무거워졌다. 상황 발생 직후 사무장은 기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의사가 있는지 안내 방송을 했지만, 안타깝게도 당시 기내에는 의사 승객이 탑승하지 않았다.

사무장은 호흡 정지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급히 손을 쓰지 않는다면 뇌사 및 승객 사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에 승객을 힘껏 일으켜세운 후 응급처치를 계속했지만 상황 발생 5분이 지나도 승객의 호흡은 되돌아오지 않았다. 30여 회 이상 강한 압박으로 응급처치를 지속하던 승무원 팔에는 피멍이 돋았다.

심폐소생술을 시도하려는 순간 승객의 흉부쪽에서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소리가 작게 들림과 동시에 코와 입에서 '후우'하는 소리가 나면서 환자의 호흡이 돌아오기 시작했다.

승객이 호흡을 시작함에 따라 승무원들은 승객이 빠르게 의식을 찾을 수 있도록 기내 뒤쪽 빈 공간에 눕힌 후 환자를 보살폈다. 환자는 승무원의 질문에 고개를 끄덕이고 반응을 하는 등 빠르게 회복했다. 승무원은 환자 부모님과 입 안 이물질을 확인한 결과, 승객의 기도를 막은 것이 어금니 유치인 것을 확인했다.

사무장은 운항승무원을 통해 휠체어를 탑승구에 대기시키는 등 필요한 조치를 오사카 지점에 요청했으며, 기내 좌석 중 비어있는 가장 앞쪽으로 승객 일행을 앉도록 해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했다. 이날 오후 6시 23분 착륙 후 승객은 부축없이 스스로 걸어나오는 등 상태가 호전됐지만, 즉시 병원 응급실을 방문할 것을 안내받았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30여 분의 긴박한 시간 동안 KE739편 객실 승무원들이 소중한 생명을 살려낼 수 있었던 것은 승객의 안전을 위해 기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대비해 꾸준하게 훈련을 거듭해온 결과"라면서 "기내 응급 상황에서 객실 승무원이 일사불란한 협업으로 각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 1회 정기안전교육을 통해 응급 처치법, 심폐소생술(CPR) 및 자동심장충격기(AED) 사용법 실습 등 기내 항공 응급 처치와 관련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디지털뉴스국 배윤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