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조국 “가족펀드·웅동학원 헌납”…자진사퇴 의향엔 `묵묵부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웅동학원 이사장` 모친도 물러나기로

“가족 모두 웅동학원 권한 내놓는다”

공익재단 이전 추진…출연재산 포기

“`국민 청문회` 열리면 출석”…완주 의지

이데일리

조국 법부무 장관 후보자가 23일 오후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종로구 적선현대빌딩 1층 로비에서 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박일경 기자] 조국(54)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가족 명의 사모펀드를 공익법인에 모두 기부하고 웅동학원도 공익재단으로 이전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서울대와 부산대에서 촛불집회가 열리는 등 가족을 겨냥해 연일 쏟아지는 의혹에 악화하는 여론을 돌려세우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특히 자진 사퇴 없이 청문회 정국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확인하며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해석된다.

조 후보자는 이날 오후 2시30분께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이 꾸려진 서울 종로구 적선현대빌딩 1층 로비에서 직접 준비한 입장문을 발표하고 “먼저 두 가지 실천을 하고자 한다”며 “단지 국민들의 따가운 질책을 잠시 피하기 위한 것이 아닌 진심에서 우러나온 저의 실천이다. 전 가족이 함께 고민해 내린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첫 번째로 제 처와 자식 명의로 돼 있는 펀드를 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공익법인에 모두 기부해 이 사회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한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쓰이도록 하겠다”며 “신속히 법과 정관에 따른 절차를 밟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로 `웅동학원`의 이사장인 어머니가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는 것을 비롯해 저희 가족 모두는 웅동학원과 관련된 일체의 직함과 권한을 내려놓겠다고 제게 밝혀왔다”고 전했다.

조 후보자는 “향후 웅동학원은 개인이 아닌 국가나 공익재단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의, 이사회 개최 등 필요한 조치를 다하겠다”면서 “공익재단 등으로 이전 시 저희 가족들이 출연한 재산과 관련해 어떠한 권리도 주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가나 공익재단이 웅동학원을 인수해 항일독립운동의 정신을 계승하고 미래 인재양성에만 온 힘을 쏟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데일리

조국 법부무 장관 후보자가 23일 오후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종로구 적선현대빌딩 1층 로비에서 입장문을 발표한 뒤 사무실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입장문 발표 후 기자 질문엔 답 안 해

조 후보자의 입장문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자녀의 특혜입학 의혹과 펀드 편법증여 의혹, 웅동학원을 둘러싼 각종 의혹이 꼬리를 물고 터져 나오는 상황에서 중도 사퇴 없이 끝까지 돌파해낸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읽혀진다.

실제 조 후보자는 오전 출근길에서 여당이 제안한 `국민 청문회`에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지난 22일 더불어민주당은 조 후보자 인사청문회 날짜가 잡히지 않는다면 국민과의 대화 자리를 만들겠다며 `국민 청문회`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는 “야당이 청문회를 보이콧하면 진실을 알릴 기회가 사라져 버리고 본인한테 덧씌워진 가짜뉴스 등을 소명할 기회조차 허공에 날려버리는 것”이라며 “말할 기회도 안 주고 입을 닫게 만들 수는 없다”고 국민 청문회를 검토하고 있음을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조 후보자는 “장관 후보자로서 어떤 형식의 검증도 마다하지 않겠다”며 “국민 청문회가 준비될 경우 당연히 출석해 답하겠다”고 말했다. 정의당의 소명 요청에도 조속히 응하겠다고 덧붙였다. 여야가 인사청문회 일정에 합의하지 못한다면 국민 청문회에 참석해 의혹에 대해 해명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조 후보자는 오전에 있은 `자진 사퇴할 생각이 있는지`를 묻는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오후에도 입장문만 낭독하고 기자들이 `사실상 사과로 봐도 되느냐`, `딸 부정입학 의혹에 대한 입장은 무엇이냐`, `오늘 촛불집회가 있다`는 각종 질의에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은 채 다시 사무실로 돌아갔다.

이데일리

자유한국당 정점식(왼쪽)·이만희 의원이 2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와 웅동학원 이사진 등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배임 혐의로 고발장을 제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檢 고소·고발 11건…장관`령` 제대로 설까

조 후보자는 가족이 전 재산 56억4000여만원보다 약 18억원이 많은 74억5500만원을 사모펀드 `블루코어밸류업1호 사모투자합자회사`에 출자하기로 약정해 논란이 일었다. 사모펀드를 증여세 탈루에 악용했다거나 친척이 운영에 깊숙이 관여했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조 후보자의 아내와 자녀는 사모펀드인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PE)에 10억5000만원을 투자한 상태다.

모친이 이사장으로 있는 웅동학원은 건설회사를 운영한 조 후보자 동생이 공사대금을 달라며 낸 소송에서 무변론으로 패소하는 등 일가의 재산확보 수단으로 쓰인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

명예훼손을 비롯해 업무방해, 부동산실명법 위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업무상 배임) 등 현재 조 후보자와 그 일가를 상대로 한 고소·고발 사건은 11건에 달한다. 이 중 5건이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 성상헌)에 배당됐다.

지난 19일 하루에만 3건의 고발이 접수된 데 이어 22일에도 3건이 추가됐다. 지난 22일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조 후보자 딸이 한영외고 1학년이던 2007년 단국대 의대 의과학연구소에서 2주가량 인턴을 하며 대한병리학회 영어논문에 제1저자로 등재된 것은 허위라고 주장하며 조 후보자를 업무방해 등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같은 날 오후엔 한국당이 대검에, 바른미래당이 서울중앙지검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이데일리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오전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종로구 적선현대빌딩으로 출근해 불거진 의혹 관련 입장을 밝히기에 앞서 고개를 숙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당은 조 후보자를 직권남용과 뇌물죄로, 딸은 업무방해 혐의로 각각 고발했다. 조 후보자 딸이 서울대 환경대학원 재학 당시 800만원 상당 장학금을 받은 것엔 직권남용과 뇌물죄,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입시의혹엔 업무방해 혐의를 각각 적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바른미래당은 오신환 원내대표 명의로 역시 입시비리 의혹과 관련해 조 후보자와 딸을 업무방해 및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고발했다.

이날도 고발은 이어져 자유한국당 정점식·이만희 의원이 조 후보자와 웅동학원 이사진 등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배임 혐의로 대검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조 후보자 딸이 `허위사실 유포로 피해를 봤다`며 경찰에 신고한 사건도 경남 양산경찰서에 배당돼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검찰로선 조 후보자가 취임할 경우 검찰을 지휘하게 될 현직 법무부 장관을 수사해야 한다는 부담을 안게 된다. 또한 장관의 가정사와 경제력 등 속사정을 속속들이 들여다 본 검찰을 향해 법무부 장관의 `검찰 개혁` 령(令)이 제대로 서겠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조 후보자는 “저는 그동안 가진 사람으로서 많은 사회적 혜택을 누려왔다. 그 혜택을 이제 사회로 환원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제가 가진 것을 사회에 나누며 공동체를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계속 고민하고 실천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저의 진심을 믿어주시고 지켜봐 주십시오. 계속 주위를 돌아보며 하심(下心)의 낮은 자세로 임하겠다”고 몸을 낮췄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