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의 영향 가늠은 힘들어…비상 전략 수립·공급선 다변화 추진”
불편한 심기 드러낸 미국에 철강업계 등은 한·미 경제 악영향 우려
23일 재계에 따르면 한국의 GSOMIA 종료 결정에 향후 일본이 어떤 식으로든 추가 압박을 가해올 수 있어 기업마다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한·일 갈등이 장기전에 돌입한 데다, 당장 일본이 오는 28일 화이트리스트 한국 제외 시행과 함께 수출 허가를 더욱 엄격히 적용하거나 규제 범위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경제보복의 대표적 타깃인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당장 영향을 가늠하기는 힘든 사안”이라면서도 “한·일관계가 악화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일본이 전략물자 이외에 비전략물자도 규제 강화 대상으로 지정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재계 관계자는 “한국으로 수출하는 개별허가 품목이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3개에서 다른 품목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여 기업은 부담이 더 커진 것이 사실”이라고 했다.
일본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은 더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화학업계 관계자는 “시나리오별로 비상경영 전략을 짜놓고 중소협력업체와 긴밀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다만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단하기 어렵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기계업계 측은 “일본 수출규제 후 시장 모니터링과 공급처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소재를 많이 쓰는 중소·중견기업들도 규제의 장기화 및 확산을 걱정한다. 한 중견업체 관계자는 “장기적으론 국산화나 대체를 찾는 방향으로 가야겠지만 연착륙할 수 있는 여유나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나 한국경영자총협회,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들은 공식 입장을 낼 단계는 아니어서 사태를 지켜보겠다는 분위기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8월 초 대일본 수입 의존도가 높은 중소기업들을 상대로 조사했을 때 외교적 해결을 바라는 현장 목소리가 높았다”고 말했다.
다른 한편에선 GSOMIA 종료가 자칫 한·미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이번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만큼 한·미관계 악화 시 대미 수출에 영향을 받을지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연구원은 “만약의 경우 미국과의 경제 관계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와 기업은 수입처 다변화, 소재·부품 국산화에 더욱 매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한·일 간 산업구조가 워낙 긴밀히 연결돼 있어 우려가 크다”며 “갈등이 확전되면 결국 두 나라의 기업과 경제 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해결의 실마리를 속히 찾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유미·임지선·김지원 기자 youme@kyunghyang.com
▶ 최신 뉴스 ▶ 두고 두고 읽는 뉴스 ▶ 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