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9 (목)

[오래 전 ‘이날’]8월24일 고민 없는 곳, 환상의 세계로 떠난 이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959년부터 2009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1999년 8월24일 고민 없는 곳, 환상의 세계로!

경향신문

1999년 8월24일자 경향신문 25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때 판타지소설에 빠진 적이 있습니다. 기사와 마법사, 그저 북유럽 어디쯤일 것이라 추정하는 상상 속 나라, 정체를 알 수 없는 생물체…한 번 잡으면 페이지를 넘기지 않곤 못 배길 그 재미, 겪어보신 분들이라면 모두 아실 텐데요.

가벼운 에세이가 오늘날 출판시장을 휘어잡고 있지만, 20년 전 그 자리엔 판타지소설이 있었습니다. 판타지소설은 1990년대 초반 PC통신 연재를 통해 10~20대 누리꾼을 중심으로 마니아층을 형성하기 끌기 시작, 1990년대 후반 책으로 출간되면서 독자층을 확대했습니다.

20년 전 오늘 경향신문도 판타지소설 붐에 주목했습니다. 기사에 소개된 대표 소설의 판매부수로 당시 인기를 짐작해볼까요.

“지난해 7월 <드래곤라자>(이영도)의 출판을 시작으로 활자화되면서. 서점가에까지 판타지 돌풍을 일으킨 <드래곤라자>는 최근까지 42만부가 팔렸다. 그후 <용의 신선>(김예리), <마왕의 육아일기>(방지나)가 각각 35만부, 10만부를 돌파했다. 넓은 의미에서 판타지 소설로 묶을 수 있는 <퇴마록>(이우혁)은 130만부나 팔려나갔다. 판타지소설이 베스트셀러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만성적 불황에 신음하는 출판시장이 들썩거릴 만한 숫자지요.

놀라운 것은 판매 부수만이 아니었습니다. 판타지소설 작가는 마니아들에게 연예인 못지않은 스타가 됐는데요. 기사는 “<가즈나이트>의 ‘가즈사랑모임’ 등 30개가 넘는 팬클럽이 통신에서 활동하고 있다”며 “이들은 소설을 분석하고 연구하면서 작가와 통신 교류를 갖는다. 연재가 늦어지면 팬들이 후속편을 쓰기도 한다”고 전했습니다.

그렇다면 당시 신세대들은 왜 판타지소설에 열광했을까요? 당시 기사는 다음과 같이 분석합니다.

“판타지소설이 신세대에 익숙한 컴퓨터게임과 같은 구성, 전개 방식을 가졌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철저한 가상의 무대를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고단한 현실의 흔적을 발견할 수 없다는 점이다. 기존 문학 창작자들이 중요한 가치로 여겼던 ‘현실을 드러내면서 독자들로 하여금 고통을 공유토록 요구하는 글쓰기’를 판타지소설에서는 찾을 수 없다.” 판타지소설이 현실의 고단함을 잊을 수 있는 일종의 ‘도피처’로 기능했다는 것인데요. 1990년대 후반 닥친 경제 위기를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당시 낯선 장르였던 판타지소설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습니다. ‘사이버시대의 새로운 창작민주주의’냐, ‘유행에 편승한 아마추어’냐로 전문가 평가가 나뉜 것이죠. 초기 판타지 소설들은 PC통신 연재에서 시작된 만큼 출판사 편집자의 취사선택이 아닌 대중의 선택과 검증을 거쳤습니다. 이제 막 입시를 마친 20대 초반 대학생들이 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분방하게 쓴 작품들이 많았지요. 기성 문인이나 비평가들은 이들 작품의 조악한 문장과 표현을 비판했습니다. 보수적 평론가들은 판타지소설 작가를 치열한 문제의식이나 수련과정 없이 유행에 편승한 아마추어일 뿐이라고 폄하하기도 했습니다. “판타지소설의 문학적 미래는 없다”며 극단적인 평가를 내린 이들도 있었고요.

20년 전과 같은 ‘붐’은 아니지만, 판타지소설은 이미 하나의 장르로 자리잡았습니다. 마니아층은 두텁고 탄탄합니다.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로도 변신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플랫폼이 확대되면서 전보다 더 쉽게 작품을 즐길 수도, 쓸 수도 있게 됐습니다.

또다시 주말입니다. 무더위도 물러가고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는데요. 이번 주말은 판타지소설로 보내보는 건 어떨까요.

최민지 기자 ming@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