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0 (금)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DLS 미상환 잔액 18.7조원…1년 새 20%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7월까지 1년간 상환액 직전 동기 대비 28% 줄어

연합뉴스

DLS·DLF 등 금리파생상품 손실 (PG)
[정연주 제작]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수천억원대 추정 손실을 기록한 금리연계 파생결합상품(DLF·DLS)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파생결합증권(DLS) 미상환 잔액이 최근 1년 사이에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소정의 수익을 기대하며 돈을 맡겼다가 조기 상환에 실패한 채 불안에 빠진 투자자들이 늘고 있는 셈이다.

26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SEIBro)에 따르면 이달 23일 현재 국내에서 발행된 DLS(파생결합사채는 제외) 미상환 잔액은 18조6천923억원으로 약 1년 전인 지난해 8월 말(15조5천648억원)보다 20.1%나 증가했다.

작년 말 16조3천189억원 수준에서 올해 6월 말 18조3천57억원으로 6개월 새에 2조원가량 급증했고 그 뒤 두 달간도 3천866억원(2.1%) 늘어난 영향이 크다.

DLS 발행 주체인 증권사별 미상환 잔액(23일 기준)을 보면 하나금융투자가 4조4천257억원으로 가장 많고 NH투자증권[005940](3조4천405억원), KB증권(1조7천672억원), 신한금융투자(1조3천348억원), 미래에셋대우[006800](1조2천372억원), 삼성증권[016360](1조2천327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DLS 미상환 잔액의 증가는 무엇보다 상환액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7월까지 1년간 상환된 금액은 14조9천504억원으로 직전 1년간(2017년 8월∼2018년 7월)의 상환액(20조8천42억원)보다 28.1%나 줄었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DLS 발행액은 18조1천48억원에서 18조2천174억원으로 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다만 월별 DLS 발행액을 보면 지난해 8월 1조814억원 수준에서 올해 1월 1조2천670억원, 3월 1조7천635억원, 5월 1조9천150억원, 6월 2조3천70억원 등으로 급증세를 보였다.

[표] 최근 2년간 월별 DLS 발행금액과 상환금액(단위: 억원)

연합뉴스


이달 들어서는 23일 현재까지 DLS 발행액이 8천58억원 수준으로 주춤한 상황이다.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상품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DLS 상품 전반에 대한 기피 분위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금리의 경우 거시경제와 통화정책에 따라 특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속성이 있어 그 방향성과 반대로 설계된 파생상품의 경우 투자 위험성이 크다"며 "DLS 상품 판매나 투자 모두 이런 위험성을 충분히 숙지한 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min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