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큰 혼란은 없을 것…사태 장기화는 우려"
대구시와 대구상공회의소가 지난달 17일부터 운영한 일본 수출규제 피해 신고센터에는 이날까지 1건의 피해사례만 접수됐다.
백색국가 제외 D-1…일본산 원료 재고 점검 |
접수 내용은 일본에서 수입하던 제품의 국산화 생산 때 판로개척 지원 요청이다.
피해접수 외에 대응 방안 문의는 지금까지 50~60건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종학 대구상의 사무처장은 "아직 백색국가 제외 발효 전이고 각 기업이 충분한 재고 확보 등 준비를 하고 있어 큰 피해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현장의 분위기도 당장 큰 혼란은 없을 것이라는 게 지배적이다.
대구시 달성군 유가읍의 슈퍼섬유 산업용 펠트 제조업체 보우 김복용 대표는 "수입하는 일본산 원료가 방산 제품에 쓰일 수 있어 모두 규제 대상이지만, 현재 4~5개월 치 재고가 있어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소재·부품 등은 결국에 국산화를 해야 한다"며 "일본산 산업 수입품에 대한 국산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지난 4년간 국가 연구·개발 지원사업을 통해 2천억 시장 규모인 일본 미쓰비시의 기계용 벨트를 최근 국산화했다.
대구에서 40여년째 자동차 부품제조업을 하는 한 기업대표도 "아직 업계에서 백색국가 제외에 따른 피해를 들어본 적은 없다"고 했다.
[그래픽] 일본 수출규제시 위험도 높은 중간재 집단 업종별 분포도 |
사태 장기화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지난 23일 대구상의에서는 소재·부품 ·장비 국산화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서 의료기기를 생산하는 A사는 사용 중인 일본산 기계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소모성 부품 재고를 최대한 확보했지만, 장기화 때는 해결책이 없다고 우려했다.
덧붙여 국산 대체품을 구해도 품질과 테스트 등이 오래 걸려 애로가 많다고 했다.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B사는 일본 자동차회사와 함께 후속 모델 제품개발을 계획했었는데, 이번 사태로 공동개발이 아닌 일본 자체 개발로 전환될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안타까워했다.
홍석준 대구시 경제국장은 "현재 기업의 직접적인 피해는 없지만, 사태 장기화 등 불확실성에 따른 재고 비용의 증가, 수입선 다변화 여부 등의 간접 피해가 우려된다"며 "시 차원에서 국산화 연구개발비 확보와 대기업과의 협력 강화 등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mtkht@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