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5세대 이동통신

5G 사이버위협 대비…민관군 합동 대응체계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가사이버안보 기본계획' 확정…2022년까지 단계적 추진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정부는 5G(세대) 초연결 사회 진전에 따른 위험요인 확대 등 국가 사이버안보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민관군 모두가 참여하는 체계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했다.

과기정통부는 3일 오전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국가사이버안보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기본계획은 4월 3일 발표된 국가사이버안보전략을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해 범부처 차원에서 이행할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담고 있다.

정부는 사이버안보 6대 전략과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관별 실행계획을 18개 중점과제, 100개의 세부과제로 종합하고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가 정보통신망과 주요 정보통신 시설의 보안환경 개선으로 생존성과 복원력을 강화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차세대 보안인프라를 개발, 보급해 국가 핵심 인프라의 안전성을 높이기로 했다.

정부는 사이버공격을 사전에 효율적으로 억지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민관군 합동 대응체계를 강화하는 등 사이버위협 대응 역량을 계속 고도화할 방침이다.

개인·기업·정부 간 상호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국가 차원의 정보공유시스템을 활성화하고 지자체·중소기업·정보보호지원센터 등과 협력하는 등 종합적인 사이버안보 거버넌스를 만들기로 했다.

정부는 사이버안보의 핵심역량이 되는 기술·인력·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연구개발을 함으로써 혁신적인 보안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모든 국민이 사이버안보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며 정책 수행 과정에서 기본권을 존중받고 국민들의 참여와 신뢰를 보장할 수 있는 사이버보안 문화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정부는 국제규범 형성을 주도하는 등 사이버안보를 위한 국제협력을 내실화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사이버안보 전략별 기본계획 주요 내용
[과기정통부 제공]



연합뉴스

사이버안보 전략별 기본계획 주요 내용
[과기정통부 제공]



chunj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