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5세대 이동통신

'지하철역 예술작품, AR로 본다'…LGU+ 공덕 'U+5G 갤러리' 개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예술가 24명의 작품 88개로 구성…내년 2월 말까지 운영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지하철 공간이 증강현실(AR)로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5G 기반의 갤러리로 변신했다.

연합뉴스

U+5G 갤러리 개관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오른쪽)과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 [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서울교통공사와 서울 지하철 6호선 공덕역에 5G 기반 문화예술 공간 'U+5G 갤러리'를 열었다고 3일 밝혔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고객이 전시 작품을 LG유플러스의 5G 서비스 앱 'U+AR'로 비추면 스마트폰 화면상에서 작품이 움직인다. 정지된 발레리나 그림을 비추면 U+AR에서 발레리나가 공연을 펼친다.

U+5G 갤러리는 지하철 플랫폼 갤러리, 지하철 내부의 열차 갤러리, 환승 계단 갤러리, 환승 거점 팝업 갤러리 등 4개 공간에 마련됐다. 예술가 24명의 작품 88개로 구성됐다.

먼저 플랫폼에는 신제현 작가가 무용수들과 협업한 다원 예술인 '리슨 투 더 댄스'(봉화산 방면)와 구족화가 및 서울문화재단 소속 작가들의 회화 작품(응암 방면)을 전시했다.

1편(8량) 전체에 꾸며진 열차 갤러리는 윤병운 작가와 애나한 작가가 준비한 특별전과 유플러스 브랜드관으로 꾸며졌다. 환승 계단 갤러리와 팝업 갤러리에서는 권오철 작가 등 유명 사진작가의 작품을 감상하고 유플러스 AR·VR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U+5G 갤러리의 작품을 구현하기 위해 구글과 손잡고 국내에서 유일하게 구글 렌즈의 플랫폼 파트너사로 참여했다. 갤러리 33개 작품에 구글 렌즈가 적용돼 정지된 이미지가 동영상처럼 자연스럽게 움직인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은 2일 U+5G 갤러리 오픈식에서 "5G 기술과 문화예술이 만나 세계 최초 U+5G 갤러리를 구축했다"며 "시민들이 작은 일상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LG유플러스와 협업으로 하루 약 5만명이 이용하는 공덕역을 첨단 기술이 적용된 예술 갤러리로 꾸밀 수 있었다"고 말했다.

U+5G 갤러리는 2020년 2월 29일까지 약 6개월간 운영된다.

srcha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