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구한말 ‘베스트 외식 메뉴’는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21] 음식으로 읽는 시대상, 음식 기록자 김상보의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한겨레21

“인생 뭐 있냐? 마음 편하게 맛있는 것 먹는 게 행복이지.” 코미디언 이영자는 ‘먹방’(먹는 방송)에서 먹으며 이렇게 말한다. 그의 말마따나 가장 짧은 시간에 확실한 행복감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마음 편하게 맛있는 한 끼 식사를 하는 거다. 그러나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삶이 팍팍해지고 사는 게 어려워지면서 이 소소한 행복을 느낄 수 있는 날은 적어진다. 바쁜 현대인들은 대신 TV나 인터넷 방송의 먹방과 ‘쿡방’(요리 방송)을 보며 대리만족감을 느낀다. 그래도 정신적 허기를 달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런 이들에게 책으로 떠나는 음식 여행을 권한다. <한겨레21>은 한가위를 맞아 인생과 음식 이야기가 버무려진 맛깔난 음식 에세이와, 미식가와 음식칼럼니스트들이 꼽은 ‘내 인생의 음식책’을 소개한다. 올가을에는 ‘먹독(讀)’ 함께 하실래요?

샛노란 참외는 여름 과일이다. 즙이 뚝뚝 떨어지는 달곰한 과육은 무더위를 쫓아낸다. 좀비처럼 폭염이 달려들수록 참외 가게는 활기차다. 제철이 지난 아쉬움을 참외장아찌로 달래는 이도 있다. 지방 장터를 가면 자주 마주치는 게 참외장아찌를 파는 할매들이다. 여름을 벗어던진 참외장아찌는 한가위 밥상에 오른다.

군침 도는 조선시대 풍경



구한말 가장 인기 있던 과일도 참외였다. 참외 철이 되면 쌀집 매상이 떨어질 정도였다. 밥 대신 참외를 먹었다. 쌀보다 값이 쌌다. 참외 먹기 내기에 목숨 거는 이들도 있었다. 한꺼번에 20개나 먹어치워 내기에 이긴 이는 왕이 부럽지 않았다. 그런가 하면 숭덩숭덩 썬 고기를 넣어 끓인 장국밥이나 곰탕도 구한말엔 ‘베스트 외식 메뉴’였다. 당시를 묘사한 그림엔 소머리를 가게 앞에 진열해놓고 손님을 유혹하는 주인이 등장한다. 팔뚝만 한 커다란 칼을 들고 선 모양새는 임꺽정도 부러워할 만큼 당당하다.

<조선시대의 음식문화>엔 놀라운 옛 음식 얘기가 가득하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군침이 돈다. 한 시대 풍경이 영화처럼 펼쳐진다. 근사한 기록물이다.

한 나라의 음식문화 발전엔 기록만큼 중요한 게 없다. 식재료 종류도 많고 조리 기술도 발달했던 이탈리아가 ‘최고 미식 강국’이라는 영예를 애당초 프랑스에 뺏긴 데엔 게으르고 느슨한 그들의 기록 역사가 있다.

한식이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지 오래다. 하지만 정작 우리 음식에 관한 정확한 정보는 널리 퍼지지 않았다. 심지어 김치를 일본 음식으로 아는 외국인도 있다. 이런 이유로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같은 기록물은 소중하다. 저자인 대전보건대학 김상보 전 교수는 과거의 풍경에서 지금을 분석하는 우리 시대 음식 기록자이자 무뚝뚝한 연구자이다. 동시에 ‘소심한 역사학자’이기도 하다. 책 뒷장에 열거된 참고 문헌만 봐도 알 수 있다. 수백 권이다. <광례람> <송남잡식> <열양세시기> 등 너무 낯설어 기묘한 상상마저 하게 되는 고서적부터 <한국요리문화사> 등 현대물까지 다양하다. 그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중국과 일본 서적에 오른 음식 이야기도 따져 자신의 책을 구성했다. 그는 호방하게 추론하지 않는다. 자신의 연구를 과신하지도 않는다. 수백 년 전 책을 뒤지고 뒤져 글을 정성스럽게 짓는다. 그래서 그는 소심한 음식문화 역사학자다.

과거의 음식과 대화하기 위해



몇 년 전 음식 관련 포럼에서 그를 만난 적이 있다. 호기심 가득한 표정으로 내가 한 질문에 그는 무뚝뚝하게 답했다. 살갑지 않아 당황했지만, 그의 말은 정확했다. 그의 곁엔 우리 음식 기록이 맴돈다. 시야가 깊고 넓다. 몇 년 전 정년퇴임을 한 그의 또 다른 작업이 기대된다.

<조선시대의 음식문화>를 읽으며 역사학자 E. H. 카가 내린 명제가 떠올랐다.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다.’ 회를 즐기는 지금의 우리는 회를 맛나게 먹기 위해 겨자 양념을 만들어냈던 조선시대 조상들과 연결된다. 조선시대 관노의 음식이었다는 추어탕. 과거 음식과 대화하기 위해 오늘 서울 을지로에 있는 추어탕 전문점을 가보련다.

박미향 <한겨레> 음식문화기자 mh@hani.co.kr

<한겨레21>이 후원제를 시작합니다. 정의와 진실을 지지하는 방법, <한겨레21>의 미래에 투자해주세요.
[▶후원 하기]
[▶정기구독 신청]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