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5세대 이동통신

SKT-KT, 아시아 5G 기술상 싹쓸이.. 10개 부문중 4개 차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K텔레콤, 'MEC ‘, '네트워크 가상화'. '인공지능' 등 3개 부문 수상

KT, ‘아시아 최고 5G 상용화 상’ 수상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SK텔레콤과 KT가 글로벌 어워드에서 5G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받았다. ‘TechXLR8 Aisa’ 어워드에서다.

‘TechXLR8 Asia 어워드’는 글로벌 ICT 연구기관인 ‘인포마 텔레콤앤미디어(Informa Telecom&Media)’가 주관하며 아시아 지역의 주요 이통사 및 제조사 등이 참여한다.

올해에는 5G, AI 등 총 10여 개 영역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선정해 시상했는데, SK텔레콤이 3개 KT가 1개를 차지했다.

이데일리

SK텔레콤은 11일(현지시각) 싱가포르에서 열린 ‘TechXLR8 Asia’ 어워드에서 ‘5G 혁신 기술’ 등 총 3개 부문에서 수상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어워드에 참석한 SK텔레콤 이강원 클라우드랩스장(가운데), 류탁기 AN개발팀장(왼쪽)과 구성원의 모습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최다 수상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5G 혁신 기술’, ‘네트워크 가상화’, ‘인공지능 활용’ 부문 등 총 3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MEC(Mobile Edge Computing, 모바일 에지 컴퓨팅)는 혁신 기술로 선정돼 ’5G 월드 어워드 2019‘, ’라이트리딩 어워드‘, ’텔레콤 아시아 어워드2019‘ 등에 이어 올해에만 글로벌 어워드 4관왕을 달성했다.

’MEC‘는 5G 시대 핵심 기술로 5G기지국이나 교환기에 소규모 데이터 센터를 설치, 전송 구간을 최대 1단계로 줄여 데이터 통신 지연 시간을 최대 60% 감소시킨다.

SK텔레콤은 협력사들이 보다 쉽게 5G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MEC‘ 플랫폼을 외부에 개방, 다양한 중소기업 및 개인 개발자들과 함께 5G 특화 서비스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밖에도 ‘네트워크 가상화’ 부문과 ‘최우수 인공지능 활용’ 부문에서도 수상했다. 자체 개발한 올해 자사 망에 적용 중인 가상 네트워크 솔루션 SONA(Simple Overlay Network Architecture)는 다양한 제조사 장비로 이뤄진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각각의 트래픽을 최적의 경로로 안내한다.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탱고(TANGO; T Advanced Next Generation OSS(Operational Supporting System))’는 AI가 적용돼 빅데이터 분석과 머신 러닝 기반으로 네트워크 문제점을 찾아 스스로 해결하고 최적화 한다.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센터장은 “SK텔레콤의 기술 개발 노력이 다수의 글로벌 어워드 수상을 통해 인정받고 있다”며 “5G 시대를 선도하는 혁신 기술과 서비스를 지속 개발해 글로벌 기술 생태계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데일리

KT 네트워크부문 최용민 팀장(왼쪽)이 ‘5G 아시아 어워즈 2019’에서 ‘아시아 최고 5G 상용화 상’을 수상한 후 시상자인 영국의 리서치 업체 Ovum의 파멜라 딕슨(Pamela Dickson, 오른쪽)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T는 ‘아시아 최고 5G 상용화 상’을 수상했다. 2017년 ‘5G 연구 우수 공로상’, 2018년 ‘최우수 LTE-5G 융합상’ 수상에 이어 이번 ‘5G 아시아 어워즈 2019’에서 ‘아시아 최고 5G 상용화 상’을 수상하며 5G 부문에서 3년 연속 수상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아시아 최고 5G 상용화 상’은 올해 신설된 상으로 5G 네트워크 상용화로 가장 훌륭한 성과를 이뤄낸 기업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KT는 올해 4월 세계최초로 5G 상용서비스를 시작하며 CUPS(Control and User Plane Separation) 구조와 MEC(모바일 에지 컴퓨팅)가 구현된 전국 최다 8개의 5G 에지 통신센터를 기반으로 한 초저지연 5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UPS 기술’은 3GPP 국제 표준에서 정의하는 기술로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와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장치를 분리해 각각 독립적으로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진보된 표준 기술이다. 독립형(SA) 기반의 5G 네트워크 구축에는 해당 기술 적용이 필수적이다.

KT 네트워크연구기술지원단장 이수길 상무는 “이번 5G 아시아 어워즈 수상으로 다시 한 번 평창에서부터 세계최초 상용화까지 이어온 KT의 5G 리더십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5G 기술 개발과 최고 수준의 품질 확보로 글로벌 1등 5G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