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기도, 일본 반도체 수출규제 대응 ‘학사급 반도체 산업인력’ 양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년 2개대학 선정…소재·부품 장비 관련 특화과정 개설·운영

양성인력 협력기업에 채용 연계 지원

뉴스1

경기도청사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뉴스1) 진현권 기자 = 경기도가 일본의 반도체 수출규제에 대응해 소재·부품장비에 특화된 학사급 반도체 산업인력 양성에 나선다.

15일 도에 따르면 중국의 반도체 인재굴기와 일본의 반도체 관련 수출규제에 맞서 내년부터 학사급 반도체 인력을 양성해 관련 국내 중소·중견기업에 공급할 계획이다.

현재 삼성,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은 우수인력이 몰려 인력난을 겪고 있지 않지만 국내 반도체 산업의 98%를 차지하는 중소·중견기업은 전문인력부족으로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2017년 기준 경기도내에는 반도체산업 관련 사업체수(3865개)의 55.4%(2140개), 종사자수(16만8659명)의 62.7%(10만5762명)가 집중돼 있으며, 부족한 전문인력은 840여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내년부터 도내 2개대학을 선정, ‘경기도형 반도체 산업인력 양성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대학 당 2억원, 운영비 1억원 등 총 5억원이 투입된다.

참여대학은 반도체 소재·부품 장비 관련 특화과정을 개설·운영하고, 학생 교육과정 및 교재개발에 대학과 산업체가 공동 참여한다.

또 기업과 연계된 현장실습 및 R&D 인턴십 등을 통해 현장 밀착형 교육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양성된 맞춤형 인력은 협력기업에 채용되도록 지원한다.

도는 이를 위해 내년 1월 기본계획 수립 및 수행기관 선정 뒤 2월까지 대상대학 선정 및 채용협력기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교육과정은 3월부터 12월까지 운영된다. 수료 뒤에는 채용협력기업에 양성된 인력이 채용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내년부터 전자공학, 신소재 등 관련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도체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할 예정”이라며 “일단 내년엔 2개 대학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지만, 장기적으로 보고 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jhk102010@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