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유시민 "조국 사태는 '가족 인질극'·동양대 표창 위조 의혹은 사퇴 노린 작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원서동 노무현시민센터 건립 부지에서 열린 기공식에 참석한 유시민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의 유시민이 발언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의 유시민 이사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법무부 장관 임명을 계기로 이른바 ’조국 정국’이 새로운 막을 올렸다면서 문 대통령도 ”위험을 안고 가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유 이사장은 유튜브 채널 ’딴지방송국’이 지난 14일 공개한 ‘김어준의 다스뵈이다’에 출연해 ”연극으로 치면 언론의 문제 제기와 야당의 폭로가 1막, 검찰 압수수색과 대통령이 임명할 때까지가 2막이었고, 지금 3막이 열린 것”이라며 ”대통령이 방아쇠를 당겼고, 새로운 3막은 어디로 갈지 모른다”고 조심스럽게 정국을 내다봤다.

이어 ”리스크를 안고 대통령도, 저도 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조 장관 일가를 겨냥한 윤석열 검찰총장 체제 아래 특수부 검찰 수사의 칼끝이 어디로 향할 지 모르는 상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보인다.

유 이사장은 또 조 장관의 딸을 둘러싼 동양대 표창장 총장 명의 직인 위조 의혹 등으로 최성해 동양대 총장에게 직접 전화한 데 대해 ”절반 정도는 팩트 체크 관련 통화였고, 절반은 안부 묻고 농담을 주고 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동양대에 아는 사람들이 있어 전화 몇통을 돌려 확인해보니, 총장도 보고받은 것일 텐데 (언론에 한 발언과) 많이 달랐다”며 ”(표창장 기록) 대장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언론인들이 검찰에서 직·간접적으로 흘러나오는 팩트에 관한 정보를 거의 무비판적으로 갖다 써서 ’조국과 부인이 (딸) 스펙을 위해 상장을 위조했네’라고 이미 유포된 대중적 편견과 선입견, 인식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계속 사용했다”며 ”동양대 건 전체가 조국을 압박해서 스스로 사퇴하게 만들기 위한 작업이었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조국에게는 문제가 생길 수가 없어 주저앉히는 방법은 가족을 인질로 잡는 것”이라며 ”‘가족 인질극’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세계일보

앞서 유 이사장은 조 장관의 딸을 둘러싼 표창장 의혹과 관련해 지난 4일 오전 최 총장(사진)에게 직접 전화해 당시 조 후보자를 ’낙마 위기에서 살리자'는 취지로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유 이사장은 이에 대해 언론 인터뷰에서 ”최 총장과 통화는 했지만 취재차 사실관계를 여쭤본 것”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최 총장은 ”솔직히 진실을 이야기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도 했는데, 교육자는 진실만을 말해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조 장관의 딸에게 총장상을 수여하지 않았다고 밝혀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최 총장은 지난 5일 검찰 조사를 마치고 나온 뒤 기자들과 만나 “직인을 찍기 전 상장의 일련번호를 확인한다”며 ”상장 발부 대장에 (조 후보자 딸의) 이름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지난 6일 동양대에서 재직했던 두 명의 행정 담당자는 언론 인터뷰를통해 ”총장 직인이 찍힌 상을 일련번호를 부여받아 인쇄한 적이 없다”며 ”상장 발급 담당 부서인 총무복지팀에서 일련번호를 부여받아 인쇄한 적 단 한번도 없었다”고 최 총장의 주장을 반박했다.

더불어 ”대장에 기록해라고 공지한 적도 없다”고도 했다.

같은날 자유한국당 법률자문위원 등 관계자들은 최 총장에게 전화를 한 유 이사장을 상대로 증거인멸과 강요,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등의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장혜원 온라인 뉴스 기자 hodujang@segye.com

사진=MBN 뉴스 캡처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