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동서발전, 드론 활용해 태양광 불량패널 진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진화력 옥상 태양광발전서 시범 운용, 태양광출력 6.6% 높여

파이낸셜뉴스

한국동서발전이 충남 당진화력발전 자재창고 옥상에 설치한 태양광 패널 상태를 드론을 이용해 점검하고 있다. 동서발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한국동서발전이 드론을 이용해 태양광 패널상태를 열화상 진단하는 기술로 태양광 출력을 높이고 있어 주목된다. 발전사 중에는 처음이다.

16일 동서발전 측은 "전체적으로 드론 진단 기술을 통해 자재창고 태양광(패널 2080장) 출력을 6.6% 증가시켰다. 이는 연간 수익과 잔존수명을 감안해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1억2000만원 상당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동서발전은 지난 2012년 12월 충남 당진화력 자재창고 옥상에 설치한 태양광(520kW, 패널 2080장)에 대해 지난해 11월 드론으로 열화상 진단을 시행했다. 이 결과 총 205장의 패널 결함을 발견하고 원인을 분석했다. 출력손실 5%를 초래한 연결불량 패널(103장)은 케이블 점검 및 접촉 불량부 자체정비로 진단 직후 해결했다. 출력손실 1.6%를 초래한 나머지 패널(102장)은 공급사와 합동 원인 규명을 통해 운영 환경상 발생한 문제(20장)를 제외한 82장의 교체를 완료했다.

동서발전은 현재 운영 중인 전체 태양광 설비(41MW)에 '드론 진단 기술'을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0.7MW의 설비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약 1.5개의 축구장 면적(1만1000㎡) 및 11억원의 투자비를 절감하는 효과다.

동서발전은 드론,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발전설비에 접목하고 있다. 당진에코태양광(10MW), 당진화력 1회처리장 태양광(25MW) 등 향후 건설되는 태양광 설비 준공검사 항목에 드론 열화상 진단결과를 포함해 설비인수 전 제작 결함이나 시공 결함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