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트럼프 “장전 완료”…美·이란 충돌 위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석유시설 피격 여파로 국제 유가가 20%가량 급등한 가운데 미국과 이란의 무력 충돌 위기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미국 ABC뉴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번 공격의 배후로 지목된 이란이 전날 사우디 석유 시설을 공격하면서 드론 공격뿐만 아니라 순항미사일 10여발을 발사했다고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또 공격에 사용한 드론도 이미 알려진 10대보다 많은 20대 이상인 것으로도 전해졌다.

단순 도발이 아닌 전쟁 수준의 무력 공격이라는 구체적인 정황이 드러나며 미국은 대응 수위를 높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장전 완료”라며 군사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이날 트위터에 “범인이 누군지 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다”면서 “우리는 결과가 나오는 대로 공격 준비가 끝난 상태(locked and loaded)”라고 썼다. 뉴욕타임스는 이란이 트럼프의 발목을 잡기 위한 작전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 안보 전문가들까지 이번 사태를 ‘제2의 진주만 공습’에 비유하며 사안의 심각성을 예고했다. 미국 국방대(NDU) 전쟁대학 학장을 지낸 랜디 라슨 전 교수는 “이것은 진주만 공습만큼이나 중대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국제사회는 유가 급등 사태를 막기 위한 대응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유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우디에 대한 공격을 근거로 나는 전략비축유의 방출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또 미국은 전략비축유 방출뿐 아니라 주요 산유국에 대한 경제 제재 완화와 셰일 석유 증산 등 다양한 공급 확대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에너지기구(IEA)도 성명에서 “세계 원유 시장은 재고가 충분해 공급이 잘 이뤄질 것”이라며 국제 원유 시장의 동요를 막았다. AP통신에 따르면 16일 일본 정부도 필요할 경우 해당 국가나 IEA와 협력해 국내 소비량 약 230일치에 해당하는 비축유 중 일부를 방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