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목)

[여적]무당파 제1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선거 결과를 결정하는 주요 층위로 인식되는 무당파 및 중도 유권자의 특성에 관한 정치행태 연구들은 유의한 결과물을 내놓는다. 핵심은 무당파와 중도층이 동질의 집단이 아니라는 것이다. 중도 유권자는 ‘무정향’, 무당파는 정당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무태도’(non-attitudes)와 ‘부정적 태도’(negativity)의 차이는 분명하다. 무당층은 정치적 무관심층이 아니다. 지지할 정당이 없다는 것이지, 정치에는 참여하는 행동파다. 선거에서 그들의 ‘기권’ 행위는 적극적 의사 표출이다.

역대 총선에서 가장 투표율이 낮았던, 바꿔 말해 기권율이 제일 높았던 때는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치러진 2008년 18대 총선이다. 투표율은 46.1%에 불과, 대의민주주의 위기 논란을 일으킬 정도였다. 17대에 비해 14%포인트 감소했고, 그 4년 후 19대 총선(54.2%)과 비교해도 도드라진다. 그때 무슨 일이 있었을까. 18대 총선 5개월 전 2007년 대선에서 ‘역대 가장 흠이 많은 대통령 후보’ 이명박은 500만표 차로 대승을 거뒀다. 하지만 전체 유권자 대비 득표율은 30.5%로 최저에 그쳤다. 당시 노무현 정권에서 이탈한 무당층이 대거 투표 기권으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실제 2008년 총선 뒤 야권의 비전이 보이지 않으면서 한동안 무당층은 40%대를 넘어 50%를 넘나들었다. 이명박 정부 실정에 실망한 중도층이 야권 지지로 옮기지 않고 무당층으로 이동해서다.

‘조국 사태’를 겪으면서 무당층이 급격히 늘어났다는 ‘추석 민심’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고 있다. SBS·칸타코리아 여론조사에서는 무당층이 38.5%에 달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 긍·부정을 합치면 95%, 조국 법무장관 찬반 여론도 합치면 90%를 넘는다. 한데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지지율은 합쳐서 50~60%대다. 기성 정당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지닌 무당층이 격증했다는 얘기다. 2017년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를 찍은 유권자의 한편이 허물어졌으나, 이탈한 그들이 ‘도저히’ 한국당을 향하지 못하면서 빚어진 결과다. 제3지대 역할을 해야 할 바른미래당과 정의당도 유인 매력을 상실했다. 정녕 정당정치의 디스토피아로 일컬어지는 ‘무당파 제1당 시대’가 다시 도래하고 있는지 모른다.

양권모 논설실장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