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상대 이심성교수팀, '2차원 폴리로탁세인' 획기적 제조법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나노과학 핵심소재 연구평가, 화학 분야 전문학술지 '안게반테 케미' 게재

연합뉴스

경상대 이심성 교수·이은지 박사
[경상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진주=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경상대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이심성 교수연구팀이 나노과학의 핵심소재인 '2차원 폴리로탁세인'을 제조하는 획기적 방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로탁세인(rotaxane)'은 바늘 코(또는 구슬)에 실을 꿰는 것처럼 반응물이 물리·기계적으로 얽혀 생성한 물질이다.

로탁세인 및 이들의 고분자인 폴리로탁세인은 차세대 나노기술로 주목받는 분자모터 등 다양한 분자 기계의 원천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제조법은 바늘 코에 실을 꿰고, 일직선으로 서로 연결해 1차원 구조를 만든 후 나란히 배열한 1차원 구조를 다리결합으로 천을 짜듯이 2차원으로 만드는 과정을 거친다.

기존 방법에서는 실을 꿸 때 사용하는 성분과 다리결합에 사용하는 성분은 전혀 다른 물질이었다.

이 교수팀은 자체 설계한 원통형 유도체를 은 이온과 선형분자인 이시아노옥탄과의 단 한 번의 반응을 통해 높은 수율(투입량 대비 완성품 비율)로 2차원 폴리로탁세인 제조에 성공했다.

또 그 구조를 X-선 단결정(單結晶) 회절(장애물 주위 파동의 퍼짐) 분석으로 밝혀냈다.

이 교수팀은 이 방법을 통해 한 가지 선형분자가 바늘 코를 꿰고 다리결합에도 참여하는 등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하는 점도 확인했다.

연합뉴스

2차원 폴리로탁세인 제조법 개발
[경상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그동안 한 가지 선형분자가 서로 다른 두 기능을 보이는 것은 선형분자 사이 큰 반발력 때문에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교수팀은 "이번 연구의 핵심은 한 가지 선형분자로 2차원 폴리로탁세인을 제조한 것과 이 물질이 만들어지는 합리적인 경로를 제안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전문 학술지인 '안게반테 케미'에 핫 논문으로 선정돼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 및 핵심연구 지원사업으로 이뤄졌다.

choi21@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