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혹한 범죄수법, 대담한 범행으로
80년대 한국사회 공포로 몰아넣어
영화 <살인의 추억> 흥행 성공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상 최악의 미제사건으로 남아 있는 경기도 ‘화성 연쇄살인사건’의 유력한 용의자가 확인되면서 용의자에 대한 관심과 함께 공포스러운 사건 자체에 대한 ‘기억’도 소환되고 있다.
ㄱ씨가 용의자로 지목된 화성 연쇄살인사건은 1986년 9월15일부터 1991년 4월3일까지 당시 경기도 화성군 일대에서 여성 10명이 강간·살해돼 전국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엽기적 연쇄살인사건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건의 주요 특징은 경악할 만한 것이었다. △피해자가 모두 여성이었다는 점 △젊은층에 한정되지 않고 52살(7차)·69살(10차)·71살(1차) 등 피해자의 연령대가 다양했다는 점 △스타킹이나 양말 등 대부분 피해자의 옷가지를 살해에 이용했다는 점 △피해자의 주요부위가 크게 훼손되었다(4·6·7·9차)는 점 △피해자의 대부분이 목이 졸려 살해되었다는 점 등 범행 수법이 매우 잔인했다.
결과적으로 화성 연쇄살인사건은 경찰의 수사망을 비웃듯 대담한 범행이 반복되면서 강력범죄 수사에 뼈아픈 치욕을 남겼다. 연쇄살인범 검거를 위해 연인원 205만명의 경찰이 동원됐고 3000명의 용의자가 조사를 받았지만, 유일하게 해결된 8차 사건을 제외하고 나머지 사건의 범인은 끝내 붙잡히지 않았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수사가 정착되지 못한데다 피해자들의 주변 인물을 캐보는 탐문 수사만이 주로 이뤄진 탓이었다.
경찰이 범인 검거에 실패하면서 사건이 오리무중에 휩싸이는 동안, 한국사회는 악몽에 시달렸다. ‘비 오는 날 밤에 빨간 옷을 입은 여자가 살해된다’는 등 ‘화성 괴담’이 유행했고 화성이라는 지명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웠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동영상 뉴스 ‘영상+’
▶한겨레 정기구독▶[생방송]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