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화성연쇄살인사건 범인 자백

화성 '그놈' 지목한 'DNA법'…헌법불합치 폐기 위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이번에 화성연쇄살인사건 유력 용의자를 경찰이 특정할 수 있었던 것은 범죄자 DNA 정보 때문이었는데요, 이 정보를 수사에 쓰는게 내년부터는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지난해 관련법 DNA 법이 헌법 불합치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나왔고, 올해말까지 국회에서 대체법이 나오지 않으면 DNA정보를 수사에 활용할 수가 사실상 없습니다.

이 소식은 채승기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이춘재는 자신이 남긴 30년 전 DNA에 덜미가 잡혔습니다.

[반기수/경기남부지방경찰청 2부장 : 오랜 기간이 지난 후에도 재감정해서 DNA가 검출된 사례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증거물에서 DNA를 채취해도 이게 누구의 것인지를 바로 알기 어렵습니다.

비교할 대상이 없기 때문입니다.

화성 연쇄 살인사건의 유력 용의자를 밝혀낼 수 있었던 것은 수사기관이 이춘재의 DNA를 확보해서입니다.

범죄자의 DNA를 채취·보관할 수 있게 한 일명 DNA 법 덕분입니다.

이 법은 2010년 7월 시행됐습니다.

이를 근거로 살인과 성폭력 등 재범 위험이 큰 범죄자 22만여 명의 DNA 정보를 수집해 보관 중입니다.

이 DNA 정보가 단서가 돼 수사가 다시 시작된 사건만 5600여 건에 달합니다.

2001년 전남 나주에서 발생한 '드들강 여고생 살인사건'도 DNA를 활용해 2012년 용의자를 특정했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헌법재판소가 이 DNA 법이 헌법에 합치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기본권을 과도하게 제한하고, 오남용의 우려가 크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올해 말까지 국회가 이를 대체할 법을 만들지 않으면 DNA를 활용해 수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집니다.

국회에는 DNA 채취 영장 발부 때 당사자 의견진술 기회를 보장하는 내용의 개정안이 올라와 있지만, 아직 논의되진 않았습니다.

(영상디자인 : 이창환)

채승기 기자 , 이승창, 이지훈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