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기준금리 인하 후 금융투자업계 성장률 등 관측 분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지난 16일 16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한국은행이 지난 16일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1.25%로 낮춘 가운데 금융투자업계가 다음달 한은의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 수정 전망과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관측하느라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신한금융투자 리서치센터는 17일 ‘뜨거운 감자 추가 금리 인하’란 제목의 시황 분석 전망 자료에서 “당사가 예상하는 11월 한은의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올해 2.0%, 내년 2.3%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한은이 제시한 올해 우리경제 성장률 전망치(2.2%)와 내년 전망치(2.5%)보다 낮다.

이 자료는 이어 “사실상 올해부터 국내 경제는 성장률 1% 단계에 진입했다고 보는 편이 무난하다”면서 “작년과 같은 초과세수를 기대하기 어렵고 한국이 대외경제의 영향을 받아 올해 경제회복이 나타날 가능성도 크지 않아 내년에도 이런 내용이 크게 달라질 근거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기가 내년에도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기 어렵다면 추가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빠른 시일 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에 따라 경기 부양을 위한 추가 금리 인하가 필요하며 그 시기는 내년 1분기가 될 것이란 견해가 많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GDP가 전반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고 물가도 디플레이션 논란에서 벗어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1분기 추가 인하를 전망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JP모건은 한은이 내년 1분기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을 철회해 눈길을 끌고 있다.

JP모건은 현재 상황에서는 한은이 현행 금리를 유지하며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 통화완화 정책의 영향이 분명해질 때까지 관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한은이 지난 16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금리를 지난 7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모두 0.5%포인트 인하한 효과를 지켜보겠다고 언급한 점, 일부 금통위원이 동결 의견을 제시한 사실 등을 들어 금통위가 동결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신동주 기자 range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