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경기도 내년부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시행 … 4만→ 6만 명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관련 예산도 474억→ 709억 원 증액 ...'고품격 서비스 제공 가능 전망'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는 만 65세 이상 취약노인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6종의 서비스가 내년 1월부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로 통합됨에 따라, 기존 4만여명 보다 2만명 늘어난 6만여명의 노인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고 20일 밝혔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초고령 사회진입 대비를 위해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노인돌봄종합서비스 △단기가사서비스 △지역사회자원연계 △독거노인 사회관계활성화 △초기 독거노인 자립지원 등 6개의 노인돌봄서비스를 통합‧개편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내년 1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소득수준’ 등에 따라 대상이 제각각으로 운영되는 등 유사‧분절적으로 운영되는 6종의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누구나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개인별 욕구 및 필요에 따라 안부확인 가사지원 자원연계 생활교육 사회참여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도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해 관련 예산을 기존 474억 원에서 709억 원으로 확대하고, 서비스관리자 생활관리사 등 서비스 수행 인력도 1670여명에서 3890여명으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기존 41곳이었던 돌봄서비스 수행기관을 114곳으로 확대, 시군 권역별로 운영되도록 함으로써 수행기관 1개소 당 노인 300~400여명의 노인에 대한 ‘맞춤형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도내 각 시·군은 다음달 중으로 수행기관 선정 절차를 완료하는 한편, 오는 12월까지 수행인력 채용 및 보건복지부 주관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도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시행될 경우 돌봄이 꼭 필요한 노인들이 복잡한 기준 때문에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거나, 돌봄 욕구와는 무관하게 일괄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는 등의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돌봄이 필요한 취약노인이라면 서비스에 상관없이 누구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하면 되는 만큼 대상 선정 등에 따른 혼란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도 관계자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국가발전에 이바지한 노인들이 사회로부터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라며 “욕구와 필요에 맞는 고품격 서비스 제공을 통해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김문기 기자 kmg1007@ajunews.com

김문기 kmg1007@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