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함영주 하나금융 부회장 "DLF 자료 삭제 몰라…불완전판매, 일부 인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함영주(사진) 하나금융그룹 부회장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판매 과정에서 일부 불완전판매가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함 부회장은 DLF 사태로 고객의 재산에 손실이 난 부분에 대해서 안타깝고 죄송하다며 금융감독원 분쟁조정 결과를 모두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함 부회장은 21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함 부회장은 DLF 판매 과정에서 불완전판매가 있었다는 금감원의 조사 결과를 인정하느냐는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의 질의에 "검사 중이지만 일부 인정한다"고 답했다.

그는 "이번 DLF 사태로 고객의 소중한 재산에 손실이 난 부분은 진심으로 안타깝고 죄송하다"며 "이 과정에서 나타난 여러 문제점을 포괄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발표했고, 그 부분을 충실히 수행해서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하나은행의 DLF 관련 자료 삭제에 대한 구체적인 정황이 드러났다. 김동성 금융감독원 은행담당 부원장보는 "지성규 하나은행장의 지시로 1차, 2차에 걸쳐 전수점검을 한 결과를 담은 자료가 삭제됐다"며 "우리가 발견하기 전까지 끝까지 은닉했고, 고의로 은닉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성 부원장보는 이 자료가 손해배상 문제와 관련된 중요한 내부 자료라고 덧붙였다.

함 부회장은 DLF 자료 삭제 의혹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은 모른다"며 "상황에 대해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함 부회장은 하나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이 판매한 현지 국영보험사 저축성보험 불완전판매 논란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하나은행 인도네시아법인은 현지 지와스라야 국영보험과 연계해 1588억원의 저축성보험을 팔았는데 현지 보험사가 유동성 위기에 빠지면서 만기가 도래했는데도 보험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됐다. 하나은행 인도네시아법인에서 이 상품에 가입한 고객 1600명 중 현지 교민만 500여명에 달한다. 당시 하나은행은 장소만 빌려준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이날 함 부회장은 "교민들에게 죄송하고 잘못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날 함 부회장에 대한 첫 번째 질의에 나선 지상욱 의원은 "함 부회장은 채용비리 의혹으로 기소된 가운데도 연봉만 10억원 이상을 받고 있다"며 "국민 신뢰 회복하기 위해 철저하게 반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현 기자(iu@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