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국내 최북단 호숫가 마을에선 따릉이가 공짜래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성 화진포‧송지호 자전거 둘레길 가보니



중앙일보

강원도 고성은 자전거 천국이라 할 만하다. 자전거 코스가 잘 갖춰져 있을 뿐더러 경치가 탁월해 지루하지 않다. 화진포와 송지호에서는 누구나 공짜로 빌려탈 수 있다. 사진은 화진포 둘레길에 있는 초도습지. 최승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전거 타기에 좋은 계절이다. 자연을 벗 삼아 질주하고 싶다면 강원도 고성으로 가자. 탁 트인 바다와 호젓한 호수, 눈부신 갈대와 화려한 단풍도 있다. 자전거는 안 챙겨도 된다. 고성군이 국내 최북단 호수 화진포와 철새 도래지 송지호에서 무료로 빌려준다. 지난 17~18일 화진포‧송지호 자전거 둘레길을 가봤다.



청량한 소나무숲, 아늑한 왕곡마을



중앙일보

송지호 관망타워 건너편에 있는 송호정. 정자 주변이 서서히 단풍으로 물들고 있다. 최승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성군은 2014년 자전거를 공짜로 빌려주기 시작했다. 걷기 여행과 자전거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송지호‧화진포 둘레길을 완공하면서다. 첫해인 2014년엔 2398명이 두 호수에서 자전거를 빌려 탔다. 이후 이용객이 꾸준히 늘었다. 2018년엔 5890명이 이용했는데, 올해는 지난 9월 이미 6000명을 넘어섰다. 자전거는 어린이용과 2인용을 포함해 송지호에 24대, 화진포에 32대가 있다.

서울 출발 2시간 30분 만에 송지호 관망타워에 도착했다. 타워 바로 옆에 자전거 대여소가 보였다. 백발 어르신들이 난롯불을 쬐고 있었다. 자전거 대여 업무는 ‘고성 시니어 클럽’이 맡고 있다. 김정신(80)씨가 MTB 자전거를 내줬다.

“왕곡마을까지 가실 거죠? 꼭 1시간 안에 오셔야 합니다. 흙길에서 고꾸라지는 사람도 더러 있으니까 조심하십시오.”

중앙일보

송지호 둘레길에서도 관망타워 쪽에는 잘생긴 소나무가 우거져 있다. 최승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헬멧을 단단히 썼다.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자전거를 몰았다. 둘레길 초입은 잘생긴 소나무가 도열한 흙길이었다. 폐 깊숙이 청량한 공기가 스며들었다. 800m쯤 달린 뒤 왼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포장도로에 들어섰다. 기어를 올리고 힘껏 페달을 밟았다. 벼 벤 논, 갈대숲, 밀밭이 차례로 펼쳐졌다. 금세 왕곡마을에 닿았다. 기와집 20여 채, 초가집 30여 채에서 여전히 사람이 사는 전통 마을이다. 영화 ‘동주(2016)’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이 찾고 있다. 자전거에서 내려 개울물 소리 들으며 돌담길을 산책했다. 집집이 탐스러운 대봉감이 열려 있었고, 코스모스와 구절초도 만개해 있었다.

중앙일보

송지호 둘레길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왕곡마을이 나온다. 문화재로 지정된 북방식 전통가옥이 50여채 있다. 최승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시 호수를 왼쪽에 두고 페달을 밟았다. 잎사귀가 노랗게 물든 은사시나무 군락, 반짝이는 갈대숲을 지났다. 아직 겨울 철새는 보이지 않았다. 오리 떼와 백로만 이따금 눈에 띄었다. 눈이 휘둥그레지는 광경은 아니었지만, 한없이 마음 누그러지는 풍경이었다. 대여소에 도착하니 정확히 1시간이 흘렀다. 왕곡마을을 찬찬히 둘러보고 쉬엄쉬엄 자전거를 타기엔 다소 빠듯한 시간이었다. 둘레길이 5.3㎞인데, 왕곡마을을 다녀왔으니 대략 6㎞를 달린 셈이다.



갈대와 억새 눈부신 습지



송지호에서 7번 국도를 따라 북쪽으로 24㎞를 가면 화진포가 나온다. 국내 최북단 호수이자 최대 석호다. 면적이 2.39㎢로, 송지호(0.5㎢)의 다섯 배 가까이 된다. 자전거 둘레길 코스는 두 개가 있다. 북호(외호)만 돌면 5.2㎞, 남호(내호)까지 도는 완주 코스는 10㎞다. 화진포 둘레길은 올해 한국관광공사가 꼽은 ‘한국의 아름다운 자전거길 30’에도 이름을 올렸다.

중앙일보

화진포 호숫가에는 우람한 소나무가 많다. 둘레길에서는 널따란 호수와 겹겹이 어우러진 산새를 감상할 수 있다. 최승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후 3시 해양박물관 옆 대여소에서 자전거를 빌렸다. 이번엔 지역 자전거 동호회 ‘화진포MTB사이클’ 회원 5명과 함께 했다. 선장, 부동산 중개인 등 직업이 다양했는데 두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모두 고성 토박이고, ‘꿀벅지’와 ‘강철 체력’을 갖췄다는 것. 문어잡이 배 선장 김재진(66)씨는 “평생 뱃일하느라 몸이 망가져 잘 걷지도 못하다가 4년 전부터 자전거를 탔다”며 “덕분에 지금은 마라톤은 물론이고 철인 3종 경기도 나간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화진포 둘레에는 고성군이 조성한 배후 습지가 4개 있다. 데크 로드, 전망대 등이 잘 갖춰져 공원에 들어선 것 같다. 갈대와 억새가 군락을 이룬 죽정습지. 최승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계 반대방향으로 출발했다. 대진중‧고교를 지나 둘레길 입구를 알리는 아치를 통과하니 데크 로드가 이어졌다. 데크로드가 끝날 때쯤 갈대 나부끼는 ‘초도습지’가 보였다. 고성군이 화진포 수질 오염을 막고자 2018년 4개 배후습지를 만들었다.

이승만 별장 쪽으로 가지 않고 남호로 이어지는 큰 둘레길로 방향을 잡았다. 송지호와 비교하면 화진포 둘레길은 호수에 바투 붙어 있었다. 4개 습지 중 가장 큰 죽정습지에서 잠시 숨을 골랐다. 습지는 공원처럼 예뻤다. 억새 군락이 눈부셨다.

중앙일보

화진포 둘레길에서 함께 라이딩을 즐긴 자전거 동호회 '화진포MTB사이클' 회원들. 주축 회원이 50~70대인데 모두 강철 체력을 자랑한다. 최승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시 페달을 밟았다. 감이 주렁주렁 열린 마을과 우람한 소나무가 늘어선 호숫길을 차례로 지났다. 어딜 가나 너른 호수가 보였고 멀리 금강산 자락이 겹겹이 펼쳐졌다.

대여소에 도착했다. 중간중간 사진을 찍느라 1시간이 조금 넘었다. 화진포MTB사이클 회원들은 커피 한 잔 마시고 거진항 방향으로 다시 자전거를 몰았다. 동호회 추원형 사무국장이 “다음엔 7번 국도 따라서 통일전망대까지 가자”고 했다. 허벅지가 버르르 떨렸다.

고성=글‧사진 최승표 기자 spchoi@joongang.co.kr

■ 여행정보

중앙일보

화진포 해양박물관 옆에 자리한 자전거 대여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전거 대여소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10월 기준) 운영한다. 늦어도 오후 4시까지 가야 빌려준다. 1시간 이내 반납을 원칙으로 한다. 올해는 11월까지 운영한다. 10월 30, 31일은 대여소가 쉰다. 고성군에 운영 여부를 확인하고 가자. 033-680-3047.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