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권위적’ 논란 세종신청사 외관은 부드럽게, 개방공간 확대 등으로 설계 보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조금 더 완만하게, 보다 열린 공간으로.’

행정안전부가 ‘권위주의적 졸속 건축 행정’ 논란에 휩싸였던 정부세종신청사(가칭) 설계 개선안을 22일 공개했다. 주변 청사들보다 2배 높은 규모(지상 15층, 지하 3층)와 직육면체 모양의 고압적인 외관 등 기본설계안은 변함이 없지만 보다 건물 테두리 선을 부드럽게 하고, 시민·민원인 개방 영역을 확대하는 등 ‘열린 청사’ 이미지를 강화했다는 게 행안부 설명이다.

행안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지난해 10월 신청사 국제설계공모 당선작(희림건축)의 개념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존 청사의 설계 개념과 조화를 이루고 기존 한계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각 건축가 협회가 추천한 7인의 민간 전문가들의 세 차례 설계 자문회의를 거쳐 신청사 설계 디자인 개선안을 확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세계일보

행안부에 따르면 신청사 실시설계안은 “기존 청사의 설계개념과 조화를 이루면서 기존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개선됐다. 당선작은 지상 7∼8층의 주변 청사들보다 2배가량 높은 데다 창문이 세로형이어서 중심행정타운 콘셉트에 반할 뿐만 아니라 권위적인 느낌마저 줬다. 이에 창문 모양은 가로형으로, 옥상층 테두리는 보다 완만하게, 일부 외벽의 경우 완만한 삼각형 형태로 바뀌었다.

민원인이나 일반시민 등 신청사 방문객을 위한 이용시설이 크게 는 것도 이번 개선안의 주요 특징이다. 행안부는 “방문객이 번거로운 출입절차를 거치지 않고 회의나 민원 등 편리하게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강당과 회의실, 스마트워크센터, 은행, 정부합동민원실 등을 독립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고 설명했다.

또 업무동에 한해 최소한의 보안울타리를 설치해 누구나 자유롭게 중앙보행광장(통로)이나 민원동(지상 4층 규모) 등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업무동 11층에는 금강 및 호수공원을 바라볼 수 있는 특화공간을 마련해 방문객이 별도의 출입절차를 밟지 않고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행안부는 덧붙였다.

세계일보

행안부는 정부청사 관리 등 주무 부처로서 신청사에 입주하려는 것 아니냐는 일각의 의심에 대해서는 “입주 부처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고 못박았다. 신청사 건립 사업이 행안부와 인사혁신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뒤늦게 세종시에 합류해 현재 민간 건물을 임차해 쓰고 있는 부처들을 위해 시작됐지만 어느 부처가 신청사에 입주할지는 2022년 8월 준공 즈음해 논의, 결정할 사안이라는 게 행안부 설명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신청사가 행정타운 중앙에 들어선다는 상징성과 각 부처와의 연계성 등을 고려해 범정부적으로 결정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신청사의 업무 공간은 약 4만㎡. 행안부(1만4000㎡)와 과기정통부(1만2000㎡), 인사처(5000㎡)가 입주할 수도 있지만 현재 용머리에 해당하는 1동에 자리한 총리실(1만㎡)이 옮길 수도 있다는 얘기다.

신청사와 주변 청사와의 연결브릿지는 현재 청사처럼 2, 3층 높이로 연결할지, 지상(보행로) 혹은 지하로 연결할지, 아니면 미설치 등 다양한 방안을 놓고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