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TF확대경] '좌우→상하' 차기 폴더블폰, 어떤 모습일까…삼성, 새 폼팩터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더팩트

정혜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상무가 29일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19'에서 새로운 형태의 폴더블폰을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SDC서 조개껍데기처럼 접히는 폴더블폰 깜짝 공개

[더팩트ㅣ이성락 기자] 차기 폴더블폰은 어떤 모습일까.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삼성전자의 새로운 폴더블 폼팩터가 공개됐다. 지난달 9월 초 출시돼 호평받은 1세대 폴더블폰 '갤럭시폴드'와 비교하면 접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삼성전자는 29일부터 이틀 동안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컨벤션센터에서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19'(SDC)를 개최했다.

삼성전자 미래 혁신 기술이 총출동하는 SDC는 차기 폴더블폰에 대한 힌트가 나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개최한 SDC에서 첫 폴더블폰 '갤럭시폴드'의 폼팩터 시제품을 공개한 바 있다.

예상대로 삼성전자는 이번 SDC에서 차기 폴더블폰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는 사진을 공개했다. 기존 '갤럭시폴드'가 책처럼 세로로 접히는 것과 달리 새로운 형태의 폴더블폰은 가로로 안으로 접히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조개껍데기처럼 위아래로 접고 펼 수 있다는 뜻에서 '클램셸'로 불린다. 삼성전자가 새로운 형태의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차기 폴더블폰은 기존보다 크기가 더 작아질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이날 기조연설에 나선 정혜순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상무는 "'갤럭시폴드'는 시작에 불과하다"며 "새 폼팩터는 더 콤팩트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폼팩터 혁신에 대한 삼성전자의 도전은 이미 예견됐다. 삼성전자는 '갤럭시폴드' 개발 단계에서부터 제품 형태를 놓고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올해 초 "폴더블폰은 스마트폰 화면 변화의 시작점"이라며 말았다 펴는 롤러블과 화면 변형이 가능한 스트레쳐블 기기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더팩트

고동진 삼성전자 IT·모바일(IM)부문장(사장)이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2019'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폼팩터 변화의 핵심은 '휴대성'과 '확장성'이다. 쉽게 말해 크기는 작아지면서도 스마트폰 스크린은 더 커지는 방식으로 변화를 두는 게 삼성전자의 개발 목표다. 차기 폴더블폰은 5G, 인공지능(AI), 가상현실·증강현실 등 신기술이 제공하는 경험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질 전망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공개한 새로운 폼팩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차기 폴더블폰이 반드시 '클램셸' 방식일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업계는 차기 폴더블폰에 대한 뚜렷한 윤곽이 내년 초 열리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SDC에서 새로운 폴더블 폼팩터뿐만 아니라 AI, 사물인터넷(IoT), 차세대 사용자 경험(UX),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신규 개발 도구와 서비스, 미래 비전 등을 공개했다.

먼저 빅스비 개발 통합 도구인 빅스비 개발자 스튜디오의 신규 기능을 공개했다. 또 스마트폰 사용자에 시각적인 편안함을 주는 'One UI 2'를 소개했다. 자체 보안 플랫폼 녹스와 보안 프로세스로 제품 전체 라이프 사이클에 적용되는 강력한 보안 솔루션도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주요 제품으로 최신 프리미엄 노트북 '갤럭시 북 플렉스'와 '갤럭시 북 이온'을 공개했다. 해당 제품은 세계 최초로 노트북에 Q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갤럭시 북 플렉스'의 경우 360도 회전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태블릿의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고동진 삼성전자 IT·모바일(IM)부문장(사장)은 "앞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 자연스럽게 연속되는 새로운 모바일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rocky@tf.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