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주인 찾기 본입찰 마감 / KCGI 컨소시엄 포함 3곳 응찰 / 애경, 입찰액 ‘1조원대 중반’ 써내 / HDC, 1조원 더 쓴 ‘2조원대 중반’
![]() |
사진=뉴스1 |
올해 인수합병(M&A) 시장 최대 매물인 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을 찾기 위한 본입찰이 7일 마감되면서 인수 후보들이 제출한 가격에 관심이 쏠린다.
이날 항공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 매각 본입찰에는 예비입찰 때와 마찬가지로 HDC현대산업개발-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 애경그룹-스톤브릿지캐피탈 컨소시엄, KCGI-뱅커스트릿PE 컨소시엄 3곳이 응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입찰 참여를 공식화한 곳은 애경그룹 컨소시엄이다. 국내 1위 저비용항공사(LCC) 제주항공을 운영 중인 애경그룹은 자료를 내고 “애경그룹은 항공업에 대한 운영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유일한 입찰자”라며 “충분한 실사를 통해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 제주항공과의 시너지 극대화, 아시아나항공 경영 정상화에 대한 구상을 이미 상당히 구체적으로 마친 상태”라고 강조했다. 만약 애경그룹이 아시아나항공 인수에 성공하면 보유 항공기 수나 여객 점유율 면에서 국내 최대 항공그룹이 된다.
![]() |
입찰에 재계 순위 상위의 다른 그룹들이 참여하지 않으면서 아시아나항공 매각은 HDC현대산업개발, 애경그룹 컨소시엄의 양강 경쟁으로 판가름나게 될 전망이다.
애경 컨소시엄이 1조원대 중반,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이 2조원대 중반의 가격을 써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투자업계에서 아시아나 인수 금액을 1조5000억원 안팎으로 예상했다는 점에서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이 이보다 1조원을 더 써낸 것이 결과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다.
이번 매각은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주식 6868만8063주(지분율 31.0%·구주)와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보통주식(신주)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자회사인 에어서울과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등 6개 회사도 함께 파는 게 원칙이다. 시장에서는 주식 인수 대금과 경영권 프리미엄 등을 얹어 대략 1조5000억∼2조원 안팎에서 매각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호그룹과 KDB산업은행은 이번 매각 딜을 유찰 없이 연내 마무리 짓는다는 방침이다. 금호산업은 본입찰 서류를 1∼2주간 심사한 뒤 이달 중 우선인수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