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스카이 출신 CEO 30%대 붕괴…이공계는 처음 절반 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른바 '스카이'(SKY)로 지칭되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출신 재계 최고경영자(CEO)가 점차 감소해 올해 처음으로 30%대가 깨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공계 출신 CEO는 올해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서며 이공계 약진 추세를 드러냈습니다.

13일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가 발표한 2019년 국내 1천대 기업 CEO 출신 대학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표이사 CEO 1천328명 중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출신은 391명(29.4%)이었습니다.

서울대 출신이 202명(15.2%)으로 가장 많았고, 연세대 101명(7.6%), 고려대 88명(6.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스카이대 출신 CEO 비율은 2007년 59.7%에서 2010년 43.8%, 2013년 39.5%로 계속 하락하다가 올해 처음으로 30%대 이하까지 떨어졌습니다.

재계 CEO 중 3개 대학 출신이 이제는 10명 중 3명도 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들 3개 대학 출신 다음으로는 한양대 출신이 80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성균관대 38명, 중앙대 31명, 부산대 30명, 한국외대 28명, 인하대 27명, 서강대 25명, 영남대 23명, 경희대와 경북대 각 22명 순이었습니다.

유니코써치 김혜양 대표는 "과거 명문대 출신이 유능한 인재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엔 학벌보다 능력을 더 중시하는 분위기로 바뀌고 있다"며 "능력 중심의 인재선발 시스템이 정교하게 안착하면 '탈학벌' 추세는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올해 조사에서 눈에 띄는 또 다른 대목으로 '이공계 돌풍'이 꼽혔ㅅ브니다.

2010년 조사 때 43%였던 이공계 출신 CEO는 이후 꾸준히 증가해 올해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선 51.6%를 기록했습니다.

재계 CEO 2명 중 1명은 이공계 출신이라는 뜻으로,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이공계 CEO가 증가하는 추세지만 가장 많은 CEO가 전공한 학과는 여전히 경영학과로 나타났습니다.

경영학과 출신 CEO는 21.5%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서울대 경영학과 출신 CEO가 25명으로 단일 대학 학과 중에서는 최다였습니다.

경영학 다음으로는 기계공학(6.8%), 전자공학(6.7%)이 CEO가 가장 선호하는 학과로 나타났습니다.

김 대표는 "현 흐름대로면 앞으로 5년 이내에 스카이대 출신 CEO가 25% 정도까지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며 "이공계를 전공한 기술자 출신이 재계 전면에 부각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고 전망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상장사 매출액 기준(금융업 제외) 1천대 기업의 반기보고서 기준 대표이사 직위를 유지하고 있는 CEO를 대상으로 이뤄졌습니다.

출신대학과 전공 등은 정기보고서 이외에 언론기사, 인물검색 등 자료 등도 참고했습니다.

(사진=유토이미지)
이기성 기자(keatslee@sbs.co.kr)

▶ 프리미어12, 2연패 가자! SBS 단독 중계
▶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