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대상지역 해제 효과 나타나
서울은 상한제 발표 후 더 올라
국토부의 조정대상지역에서 헤재된 경기 고양시 일산 서구의 고층 아파트 모습(사진=이데일리DB)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고양시 집값이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로 전환했다. 45주만이다. 조정대상지역에서 풀린 효과라는 게 일반적 분석이다.
한국감정원이 14일 발표한 11월 둘째주(1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고양시는 0.02%를 기록했다. 고양시는 삼송택지개발지구, 원흥·지축·향동 공공주택지구, 덕은·킨텍스1단계 도시개발지구, 고양관광문화단지(한류월드)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지난 8일부터 조정대상지역에서 빠졌다.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K공인 대표는 “거래가 많이 늘거나 그런 건 아닌데 심리적 영향이 있는 것 같다”며 “집주인들이 호가를 올리면서 덩달아 시세도 오르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같은 날 다산동과 별내동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남양주시 또한 아파트값 상승세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남양주시는 한주동안 0.05% 올랐다. 남양주시 평내호평 지구의 A공인 대표는 “해제 소식 발표 이후 대출이나 세금 문제로 매도하기 원했던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다”며 “투자 목적으로 아파트를 찾는 문의 전화도 부쩍 늘었다”고 말했다.
조정대상지역에서 완전히 벗어난 부산의 상승세는 더욱 도드라졌다. 11월 첫째 주 대비 해운대구는 0.42%, 동래구는 0.27% 오르며 2017년 9월 1주 이후 약 2년 2개월, 113주 만에 상승으로 전환했다.
◇분양가상한제 적용 8개구 상승세 유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등 정부의 잇단 조치에도 서울의 아파트 매매시장은 기승을 부렸다. 정부가 아파트 값을 조정하기 위해 부동산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시장의 분위기는 정부의 의도대로 흘러가지 않는 모양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값은 이달 첫 주보다 0.06% 상승했다. 서울은 지난주와 같은 0.09% 상승폭을 유지했고 수도권은 0.08%에서 0.10%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방은 보합에서 0.01% 상승으로 전환했다.
분양가상한제 적용 27개 동이 있는 서울의 8개 자치구의 아파트 매매값은 모두 상승했다. 강남구는 0.13%, 서초구 0.14%, 송파구 0.14%, 강동구 0.11% 올랐다. 강남 4구 외에 마포구는 0.10%, 영등포구는 0.10%가 오르며 서울시 평균 상승폭인 0.09%를 넘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분양가상한제 실시와 확대 예고, 부동산거래 합동조사 등의 정부 규제로 서울 일부 단지의 상승세는 주춤했다”면서도 “매물 자체가 부족한 신축 아파트와 학군 및 입지가 양호한 단지, 상대적 저평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유지됐다”고 말했다.
청약 열기도 더 뜨거워졌다.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에 따르면 지난 1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르엘 대치’ 1순위 청약 결과 31가구 모집에 6575명이 몰려 평균 212.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용면적 77㎡T은 최고 461대 1의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 ‘르엘 신반포 센트럴’ 역시 135가구 모집에 1만1084명이 몰려 평균 82.1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다.
◇“추가 규제하겠다” 엄포 안통하는 시장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부는 다시 규제책을 예고하며 부동산 시장에 엄포를 놓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지난 13일 라디오방송 인터뷰에서 “부동산 시장이 불안 요인을 보이고 과열이 있다면 정부가 갖고 있는 세제상 조치들을 추가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며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여러 가지 총동원할 수 있는 수단들은 손안에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토부 역시 서울의 정비사업장에 대해 상한제 적용을 더욱 확대할 것을 시사했고 또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기존 주택 매매거래에 대한 자금 출처 조사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의 최근 부동산 조치에 대해 전문가들은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김성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부가 서울의 집값을 잡기 위해 분양가상한제를 시행했지만 이에 따른 공급 축소로 신규 아파트에 대한 선호를 더 키울 수 있다”며 “이는 서울의 아파트 시장을 더욱 자극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양지영 R&C 연구소장도 “동 단위 지정으로 지정하지 않은 옆 동 집값이 상승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 재정비사업 추진 속도를 늦춰 공급 부족을 낳고 결국에는 다시 집값 상승을 낳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학렬 더리서치그룹 부동산조사연구소장은 “분양가규제 정책으로 공급 일정이 불안해지다 보니 실거주 수요자들이 준신축 아파트로 몰리면서 서울의 아파트 시세는 계속 상승하는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다”며 “부산은 해제 가능성이 점쳐진 두어 달 전부터 이미 투자자들이 매물을 거둬들였고 해제 발표와 동시에 지수가 반전됐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