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정부, 케이블tv '지역성' 보호방안 마련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지역사업권 유지, 지역채널권 보호방안 마련해야

통신사 중심 거대플랫폼, 중소케이블tv 산업 죽일 수 있어

전국사업자에 의한 시장 잠식 우려...지역 고용창출하는 향토기업으로서 가치 지켜줘야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통신의 케이블tv업체 인수가 잇따르는 가운데 케이블산업의 보호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IPTV에 밀려 '사양 산업'으로 인식되던 케이블tv가 통신사에 인수되는 상황에서, 케이블tv의 '고유성'으로 통하는 지역사업권 유지와 지역채널 유지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15일 전국 개별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발전연합회는 성명서를 내고 "IPTV와 케이블의 인수합병 이후 중소 케이블tv사업 위축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각각 케이블업체 1, 2위인 CJ헬로와 티브로드 인수에 나선 가운데, 피인수 산업인 케이블tv업계에 대한 보호와 안전 장치를 정부가 마련해야 한다는 얘기다.


SO발전연합회는 "현 정부는 지역분권을 강조하고 있지만 지역방송 정책에 대한 기초적인 방안조차 없는 실정이다. 인수합병으로 인해 전국사업자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된다면 지역방송의 위기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했다. SO발전연합회는 특히 "케이블산업이 존속할 수 있도록 공정경쟁 방안을 마련하고, 지역사업권 유지와 지역채널에 대한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중소 SO 보호 장치와 상생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인수합병은 유료방송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사안이나, 통신사의 독과점 시장 형성을 용인하는 분위기로 흘러가선 안된다"면서 "SO는 전국의 각 지역에서 향토기업으로서 지역의 고용창출과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해왔다"고 언급했다. SO발전연합회는 "그동안 방송통신 정책이 지나치게 전국 위주, 통신사 위주, 상업화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면서 "이제라도 정부는 공익과 산업, 전국과 지역이 조화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