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위 모두 잘라낸 위암 환자 '치매' 위험 3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신동욱‧최윤진 교수팀, 6만여 명 분석‧‧‧"부족한 비타민 B12 보충해야"

[이충희 기자]
힐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위암 때문에 위를 모두 잘라내면 치매 발병 위험이 30%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위를 절제하면서 비타민 B12의 체내 흡수를 돕는 내인자(intrinsic factor)가 함께 사라지기 때문이다. 연구를 통해 비타민 B12를 보충하면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서울대 의대 최윤진 교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이용해 2007년부터 2012년 사이 위암 수술을 받은 환자와 일반인을 비교‧분석해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종양외과학회지(Annals of surgical onc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50세 이상이면서 위암 진단을 받은 환자 6만3998을 조사했다. 이 중 1만2825명이 위를 모두 절제했다.

위암에 걸리지 않은 일반인 대조군은 20만3276명이었다. 일반인은 위암 환자와 나이‧성별 등 사회경제적 요소,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만성신질환‧우울증 등 치매 발병에 영향을 주는 의학적 요소에서 차이가 없도록 보정했다.

분석 결과 위를 모두 절제한 환자는 대조군보다 치매 위험이 30% 높았다. 이 같은 원인으로 치매 발병 요인 중 하나인 비타민 B12 결핍이 지목됐다.

위에는 비타민 B12 흡수를 돋는 내인자가 분비되는데, 위를 제거하면서 함께 사라졌기 때문이다. 치매 환자의 47%에서 비타민 B12가 결핍된다는 보고가 있을 만큼 비타민 B12 부족은 치매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에선 위를 모두 절제한 후 비타민 B12를 보충하면 치매 발병 위험도가 낮아진다는 것도 확인했다.

꾸준히 비타민 B12를 보충한 환자들은 오히려 일반인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29% 감소했다. 다만 치매 종류를 세분화해서 분석하면 다른 결과를 보이기도 했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경우 위를 모두 절제한 환자가 일반인 대조군 보다 발병 위험이 높았지만 혈관성 치매 발병 위험은 오히려 23% 더 낮았다.

연구팀은 위를 모두 떼어낸 환자들이 식사량이 줄어들면서 내장 지방이 감소하고,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 등 혈관성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성 질환 지표들도 함께 개선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최윤진 교수는 "위를 모두 절제한 뒤 3년 전후로 비타민 B12 결핍이 두드러지기 시작한다"며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떠안고 살게 되는 것이어서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동욱 교수는 "위를 제거하면서 당연히 여러 가지 영양소가 결핍되기 쉬운 만큼 전문가 상담과 검사는 필수"라며 "비타민 B12 결핍은 충분히 조절이 가능한 만큼 치매 예방을 위해서라도 정기적인 관찰과 보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Copyright ⓒ 힐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