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월성원전 사용후 핵연료 보관시설 확충 논의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민의견수렴기구 곧 출범…원안위도 심의 움직임

연합뉴스

사용후 핵연료 보관시설 맥스터
[월성원자력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경주=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경북 경주에 있는 월성원전의 사용후 핵연료 보관시설(맥스터) 추가건립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17일 경주시에 따르면 월성원전의 사용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 건설과 관련해 주민 의견을 수렴할 경주지역실행기구가 오는 21일 출범한다.

그동안 참여 위원을 둘러싼 대표성 논란으로 출범이 미뤄졌으나 이미 선정한 10명에 환경단체 관계자 1명을 추가했다.

이 기구는 임시저장시설 추가 건립에 대한 경주 주민 의견을 수렴해 정부가 만든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에 전달한다.

경주시 관계자는 "의견 수렴 대상을 경주시민 전체로 할지, 원전 근처 주민으로 할지를 실행기구가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맥스터 건립에 또 다른 열쇠를 쥔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도 안건 심의에 나설 움직임을 보인다.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는 2016년 4월 원안위에 맥스터 증설과 관련한 운영변경 인허가를 신청했다.

원안위는 그동안 안전성평가 심사에서 결론을 내지 않았지만, 20일 안건을 본회의에 올릴지를 심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본회의는 22일 연다.

원안위 관계자는 "안건을 본회의에 올릴지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경주 감포읍이장협의회와 감포주민자치위원회는 최근 감포읍 곳곳에 '원안위는 기술적 양심에 따라 맥스터를 조속히 심사하라'라는 현수막을 내걸었다.

월성원자력본부 내 중수로 원전의 사용후 핵연료 건식저장시설은 6월 현재 저장률이 96.04%로 2021년 11월께 포화할 것으로 보인다.

월성원자력본부는 월성원전 2∼4호기를 계속 운영하려면 사용후 핵연료가 포화하기 전에 저장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견해를 보였다. 1호기는 운영을 중단한 상태다.

최학렬 감포주민자치위원장은 "경주시는 지역실행기구를 바로 가동해 주민 의사를 묻고, 원안위는 월성원전이 신청한 운영변경 인허가에 대한 답변을 하루속히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사용후 핵연료 포화 정부 늑장 대응
(경주=연합뉴스) 17일 경북 경주시 감포읍 도로변에 감포읍이장협의회와 감포주민자치위원회가 사용후 핵연료 보관시설 건립을 조속히 처리해달라는 의견을 쓴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19.11.17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ds123@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