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8 (토)

이슈 5세대 이동통신

SKT, 시공간 초월 5G 가상세계 개막…페북·카카오와 협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전진수 SK텔레콤 5GX서비스사업단장이 19일 서울 중구 을지로 T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버추얼 소셜 월드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 SK텔레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페이스북, 카카오, 넥슨 등 국내외 ICT 기업과 손잡고 5G 기반 가상현실(VR)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9일 SK텔레콤은 서울 중구 을지로 T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VR 서비스인 ‘버추얼 소셜 월드’를 론칭했다고 밝혔다.

버추얼 소셜 월드는 다수의 VR이용자들이 가상세계에서 커뮤니티 및 다양한 활동을 통해 타인들과 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서비스다. 오큘러스나 기어VR을 가지고 있는 고객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오큘러스 스토어 내 ‘점프 VR’ 앱을 통해 이용 가능하다.

이 서비스는 아바타, 가상공간, 활동이 결합된 초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한다. 이용자들은 버추얼 소셜 월드에서 아바타 머리 스타일, 눈코입, 복장 등을 꾸미고 개인 공간인 마이룸에서 VR영화를 보거나 동물을 키울 수 있다.

다른 이용자와는 마이룸 외 7개 테마의 가상공간에서 만날 수 있다. 이용자들은 테마룸에 모여 게임을 하는 등 다양한 활동도 가능하다.

클럽룸에서 DJ가 되어 다른 이용자들과 신나게 즐기거나, 카페룸에서 가상의 커피를 앞에 두고 소개팅을 할 수도 있다.

페이스북이 지난달 발표한 VR 기반 커뮤니티 ‘호라이즌’과도 비슷하다. 페이스북은 내년 이 서비스를 정식 출시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버추얼 소셜 월드의 궁극적인 목표는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처럼 현실의 모든 활동을 가상 세계로 확장하는 것”이라며 “향후에는 경복궁, 마추픽추 같은 주요 관광지나 쇼핑몰 등으로 가상 공간이 확대되고, 아바타의 종류와 활동 폭도 넓어질 것”이라고 소개했다.

SK텔레콤은 내년 상반기에는 글로벌 이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버를 확대하고, 다국어 지원을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내년 미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한다.

SK텔레콤은 “이번 출시는 국내 초실감 미디어 최초로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 글로벌 업체가 활발하게 도전하고 있는 VR 기반 가상세계 서비스에 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매일경제

SK텔레콤 홍보 모델들이 VR기기 '오큘러스 고'를 착용하고 '버추얼 소셜 월드' 서비스를 체험 중인 모습. [사진제공 = SK텔레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은 버추얼 소셜 월드 서비스를 위해 페이스북, 카카오, 넥슨 등 국내외 ICT 기업과도 제휴했다고 설명했다.

페이스북과 협력해 스마트폰이나 PC가 필요 없는 독립형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VR 기기 ‘오큘러스 고(Go)’를 이날 국내에 정식 출시한다. 개별 가격은 23만8천원이고, VR 콘텐츠 패키지인 ‘오큘러스 Go VR팩’은 22만6800원이다.

SK텔레콤은 가상체험 서비스 개발사인 ‘카카오 VX’와 18일 VR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버추얼 소셜 월드에 카카오 프렌즈 캐릭터가 등장하는 테마 공간을 꾸린다. 카카오 VX가 개발 중인 VR게임 ‘프렌즈 VR월드’의 국내 및 글로벌 판매도 SK텔레콤이 담당하기로 했다.

특히 이번 협력은 SK텔레콤이 지난달 말 카카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이후 처음 발표한 협력 사례다.

전진수 SK텔레콤 5GX서비스사업단장은 “전략적 제휴에 힘입어 카카오와의 협력이 빠르게 이뤄졌다. 앞으로도 양사 시너지를 내는데 협력하겠다”며 “페이스북과는 VR 생태계를 같이 만드는 파트너로서 선의의 경쟁 관계”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전 세계 이용자가 만나는 가상 세계 구축을 위해 국내외 기업과 VR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며 “이번 서비스 출시로 SK텔레콤 VR서비스 이용자를 올해 월 10만명에서 내년 월 100만명 규모로 성장시키겠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김승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