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태풍 피해로 ‘뻘밭’된 사과밭, 두 달째 복구 제자리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월 태풍 미탁 때 영덕 ‘물 폭탄’

저수지 물 방류로 논밭 피해 확대

재난지원금 쥐꼬리…농민들 한숨

군 “지원금 부족하지만 방법 없어”

중앙일보

지난달 27일 경북 영덕군 영해면의 한 사과밭. 갈라진 펄에 사과가 나뒹굴고 있다. 백경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농민들이 영덕군청에 피해 농산물 포기 각서까지 내며 펄을 치워달라 했으나 지원할 방법이 없다고 합니다. 이게 말이 됩니까.”

지난달 27일 경북 영덕군 창수면 인량마을에서 만난 박장원(59)씨 말이다. 마을 일대에서 농사를 짓는 그는 지난 10월 2~3일 덮친 태풍 ‘미탁’으로 초토화된 20만㎡의 논을 바라보며 분통을 터뜨렸다.

박씨에 따르면 당시 태풍으로 강물이 불어나면서 마을 앞 제방이 무너졌다. 강물은 논으로 쏟아졌고, 이내 마을 전체가 물에 잠겼다. 이날 찾은 논에는 수확하지 못한 벼가 쓰러진 채 흙더미에 파묻혀 있었다. 미처 치우지 못한 페트병 등 각종 쓰레기와 나뭇가지들도 논에 나뒹굴었다.

박씨는 “태풍 후 물 빠진 논에 펄이 60㎝ 높이로 차 있어 쓰러진 벼라도 수확하려고 했다가 기계만 고장 났다”며 “펄을 치우지 않으면 내년 농사마저 어려울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제18호 태풍 미탁의 잔해가 영덕 곳곳에 남아있다. 당시 울진군에는 이틀간 556㎜, 인근 영덕군에는 382㎜의 물 폭탄이 떨어졌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 태풍으로 경북에서 1118억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어 강원 322억원, 전남 107억원 등이다.

인근 영해면 사과밭의 상황도 비슷했다. 1만1500㎡의 사과밭에는 떨어진 사과가 곳곳에서 썩어가고 있었다.

쌓인 펄은 갈라지고 발이 빠져 사과밭에 들어가기조차 어려운 상태였다. 20년간 영덕에서 사과 농사를 지었다는 백상원(47) 자연농원 대표는 “인근 묘곡저수지에서 태풍으로 불어난 물을 방류하면서 펄과 함께 물이 저지대 사과밭을 덮쳤다”며 “3m가량 침수되자 119구조대원들이 보트를 타고 와 인근 숙소에 있던 외국인 근로자를 구조할 정도였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백씨는 태풍이 지나가고 사흘 뒤에야 사과밭을 찾을 수 있었다. 사과나무는 쓰러져 있었고 사과는 대부분 떨어진 채였다. 그나마 나무에 달려 있던 일부 사과를 수확해 백씨는 능금농협에 18㎏당 8000원에 팔았다. 예년의 4만5000원(하품 기준)과 비교하면 턱없이 낮은 가격이다.

백씨는 “농작물 재해보험을 들었지만, 과일의 상태에 따라 피해액의 최소 50%에서 최대 80%까지 보험처리가 돼 올해 매출은 지난해의 절반도 안 될 것 같다. 뻘밭이 된 과수원도 1000만원 넘게 사비를 들여 복구해야 해 더 막막하다”며 울상이었다. 그러나 백씨가 사과밭 피해로 정부에서 받은 재난지원금은 100만원이 전부다.

영덕군은 최근 행정안전부의 재난지원금 20억원을 피해 농가 1121가구에 나눠 지급했다. 영덕에선 태풍 미탁으로 농경지 침수 41.92ha, 농작물 피해 246.53ha가 발생했다. 영해·창수면에 피해가 크다. 하지만 농경지의 경우 재난지원금을 받은 농가가 개인적으로 복구해야 해 복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영덕군 관계자는 “말 그대로 지원금이기에 농가 피해를 보전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더는 지원할 방법이 없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내년 농사를 준비해야 할 농민들이 정부와 자치단체가 펄을 치워주거나 사과를 대량 소비하는 등 도울 방법을 찾아달라고 호소하는 이유다.

권수경 한국농업경영인 울진군연합회장은 “이미 한해 농사를 망친 농민들이 자력으로 피해복구를 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정부가 농경지 복구 장비를 지원하는 등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백경서 기자 baek.kyungseo@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