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부산항에 건설정보모델링 정보통합 플랫폼 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부산=뉴시스] 부산항만공사(BPA)는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과 항만 BIM(건설정보모델링) 정보통합 플랫폼 시범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사진=BPA 제공). 2019.12.05.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부산항만공사(BPA)는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과 항만 BIM(건설정보모델링) 정보통합 플랫폼 시범사업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BPA는 BIM 통합플랫폼을 적용할 테스트 베드로 선정된 부산항 신항 3부두를 시범사업 운영장소로 제공한다.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은 제반 행정지원 및 관리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BIM 기술개발 및 컨설팅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BPA 등 3개 기관은 향후 항만 BIM 플랫폼 운영 검증과 적용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시설물의 생애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해 활용이 가능하도록 시설물의 형상, 속성 등을 정보로 표현한 디지털 모형을 뜻하는 용어다. 항만, 도로, 하천, 철도 등 다양한 구조물의 계획에서부터 설계·건축·운영 등 모든 과정에 활용된다.

국내의 경우 건축·교량 등 타 분야에 비해 항만 분야에서는 BIM을 활용한 설계·시공·유지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항만 부문의 공기업에서는 BPA가 2015년 개장한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건설 시 BIM을 적용한 사례가 국내 처음이다. 부산항을 비롯한 국내 대부분의 항만이 단순 시뮬레이션이나 공정 검토에만 BIM을 쓰고 있다.

항만의 경우 건설 기간(3~5년 이내) 대비 긴 사용기간(50년 이상)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인 항만 시설물 관리시스템 도입은 필수적이다. 현재 10년 이상 된 유지관리 대상 시설 증대로 유지비용이 급증하는 시점이 도래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고 BPA는 전했다.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호주 케이프 램버트항, 스페인 바르셀로나항 등 해외 주요 항만에서는 설계·시공은 물론, 운영·보수 분야까지 BIM을 활용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2017년 4차 산업혁명 종합대책을 통해 항만 설계 및 유지관리 분야에 BIM 기반 통합플랫폼 구축을 추진키로 하고,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도 중장기 R&D 계획에 '2023년 BIM을 활용한 시설물 생애주기 관리시스템 개발'을 포함시켜 이번 항만 BIM 정보통합 플랫폼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남기찬 BPA 사장은 "해양 및 건설 기술 분야 최고 전문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항만 BIM 정보통합 기술개발은 항만 분야의 새로운 기술표준으로 자리잡고, 해양수산 R&D 정책의 성공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며 "앞으로 부산항을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 항만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ulnetphoto@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