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정창선 로봇재단 원장, 마산로봇랜드 표류사태 책임 비껴갈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시의회서 거취문제 잇달아 지적…본인은 원장직 '고수'

인사권자인 경남도지사 결정에 관심 쏠려

뉴스1

정창선 로봇재단 원장이 지난 7월 2일 경남도청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로못랜드 테마파크 개장을 9월로 다시 연기한다고 밝히고 있다..© 뉴스1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남=뉴스1) 이우홍 기자,강대한 기자 = 표류하고 있는 경남 마산로봇랜드 조성사업에 대한 경남로봇랜드재단 정창선 원장의 업무보고나 협의를 거절하는 사례가 최근 늘어나면서 경남도와 창원시에 정 원장의 거취 문제를 압박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는 정 원장이 사업 시행자인 도·시를 대리해 지금까지 마산로봇랜드 조성사업을 사실상 주도해 왔다는 점에서, 지난 10월1일 민간사업자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로 불거진 사업 위기의 책임자라는 인식이 깔렸다는 해석이다.

그러나 이런 기류에도 정 원장은 원장직 유지를 고수하는 모습이어서 인사권자인 김경수 도지사의 향후 결정에 이목이 쏠린다.

현재까지 정 원장에게 가장 큰 거부감을 보이는 측은 민간부문이다. 대우건설 컨소시엄을 비롯한 민간사업자와 이들에게 투자사업비 950억원을 대출해 준 ㈜다비하나인프라펀드자산운용(대주단)이다.

이들은 디폴트 이후 사태 해결을 위한 실무협상의 첫 자리에서 “경남로봇재단 특히 정 원장을 협상테이블에서 배제해 달라”고 강력히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간사업자 측의 이런 태도는 지난 9월 초 마산로봇랜드 1단계 사업 완성(테마파크 개장)에 이르기까지 도·시로부터 이 사업을 위탁받은 경남로봇랜드재단의 ‘갑질’이 많았던 데 따른 그동안의 ‘속앓이’를 나타낸 것이라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정 원장은 도·시의 관리감독이 부실한 속에서 이 사업을 사실상 지휘해오면서 1단계 사업의 공기연장은 물론 2단계 사업부지 중 일부 펜션부지의 소유권 이전 등과 관련한 민간사업자 측의 요청을 계속 묵살해 왔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민간사업자 측은 2단계 사업 추진의 의지가 꺾였고, 일부 펜션부지의 매매 불발로 인한 1차 대출원금 50억원의 미상환을 계기로 이 사업에서 발을 빼려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경남도·창원시 의회를 비롯한 공공 측에서도 정 원장에 대해 잇달아 거부감을 나타내면서 사실상 그의 거취를 압박하는 형국이다.

정 원장은 디폴트 발생 후 이 문제와 관련해 허성무 창원시장과 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 등에 업무보고를 하려 했지만 거부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11일 경남로봇랜드재단을 대상으로 열린 도의회 경제환경위의 행정사무감사에서 김일수(거창) 의원은 “(지금까지 원장의) 말씀들 중 거짓이라고 할 수 있는 내용들이 상당히 많이 있다”며 정 원장의 자질문제를 지적했다.

나아가 한옥문(양산1) 의원과 김성갑(거제1) 위원장은 정 원장에 대한 해임건의안 제출 계획 등 거취문제를 거론한 바 있다.

창원시의회 해양농림위원회에서도 같은 지적이 이어졌다.

노창섭(창원 상남·사파동) 위원장은 지난 4일 내년도 예산안 심사와 관련해 주요업무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정 원장이 10년 동안 재단에 근무하면서 마산로봇랜드사업의 예견된 사태에 대해 뭘 준비했느냐”며 특단의 대책을 요구했다.

도·시의회의 이런 비판에 대해 정 원장은 “지적을 따끔하게 받아들이겠다”면서도 “언론의 왜곡된 보도가 문제”, “앞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해 로봇랜드가 정상 운영되도록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해 ‘책임론’을 비껴가려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wh21@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