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청 ‘하명수사’ 의혹]첩보 루트·제보 시점 해명 다른 청·송병기…풀리지 않는 쟁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 “SNS 메시지 접수”에 송 “문 행정관과 안부 통화” 반박

제보자 신원 비공개 의혹 커지자…윤도한 “밝히는 게 불법”

청와대, 의혹 제기될 때마다 ‘선택적 해명’…논란만 키워

경향신문

맞선 검경 청와대 특감반원의 휴대전화 압수수색으로 검경 갈등이 커지고 있다. 5일 서울 서초경찰서(왼쪽)와 맞은편 서울중앙지검 건물이 한눈에 보인다. 우철훈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가 지난 1일 민정비서관실 소속 검찰 수사관 ㄱ씨의 죽음 이후 검찰·언론의 잇따른 의혹 제기에 공세 모드로 나서고 있다. 청와대는 5일 김기현 전 울산시장 측근 비리 의혹을 제보한 제보자의 신원을 밝히지 않았다는 비판에 “제보자가 누구인지 밝혔다면 불법”이라고 반박했다. 제보자가 송병기 현 울산시 경제부시장으로 밝혀진 후 ‘왜 청와대가 실명을 공개하지 않았나’라는 의혹 제기에 대한 설명이다. 지난 4일엔 ㄱ씨를 포함한 청와대 특별감찰반원 두 명의 울산행이 ‘고래고기 환부사건’ 때문이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자체 조사 자료를 공개했다. 특별감찰반의 울산행이 김 전 시장 사건과 연관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해명하기 위한 차원이었다.

청와대와 검찰·언론은 연일 반박, 재반박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쟁점은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청와대의 ‘선택적 해명’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첩보의 시작부터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청와대 요청인지, 송 부시장 제보인지 엇갈린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4일 민정비서관실 소속 문모 전 행정관이 2017년 10월 송 부시장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메시지를 제보로 접수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송 부시장은 문 행정관과 안부 통화를 한 것은 맞지만 김 전 시장 측근 비리 의혹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용’ 이상이 아니었고, ‘제보자가 SNS로 먼저 제보했다’는 청와대 설명은 사실과 다르다고 했다. 청와대는 5일 “어떤 것이 사실인지는 더 이상 밝혀낼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라며 “(청와대는) 파악할 수 있는 선에서 최선을 다했고, 누구의 말이 참말인지는 수사기관이 밝혀낼 것”이라고 재응수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 조사는 내부 조사에 국한된 것이었다. 송 부시장의 입장을 들어볼 수는 없었다”고 했다.

제보자인 송 부시장의 제보 당시 신원도 논란거리다. 청와대는 2017년 10월에 제보가 접수됐다고 말했다. 송 부시장도 그 무렵에 제보했다고 했다. 문제는 이 시기 송 부시장의 신원이다. 제보자가 당시 어떤 직위에 있느냐에 따라 통상적 비위 제보인지, 정치적 목적을 띤 제보인지가 판가름 나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제보를 받은 문 행정관이 청와대에 파견 근무 나오기 전 캠핑장에서 제보자(송 부시장)를 만나 비슷한 내용을 제보받았다고 했고 이후 청와대 파견근무 시절인 2017년 10월 이 제보자의 제보를 받은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두 번째(2017년) 제보가 이뤄졌던 당시 송 부시장이 송철호 현 울산시장의 측근이었다. 청와대는 하명수사 의혹에서, 송 부시장은 정치적 목적이 있다는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한 대목이다. 제보 내용이 민정수석실, 반부패비서관실을 거쳐 경찰로 이첩되기까지 얼마나 변경됐는지에 이목이 집중되는 이유다. 이 과정에서 SNS 제보내용을 편집·요약해 문서로 보고한 문 행정관이 김경수 경남지사와 고등학교 동창이라는 사실도 알려졌다. 원본과 편집요약본 공개 여부에 따라 윗선 개입 의혹도 제기될 수 있다.

문 행정관과 송 부시장의 관계가 시작된 경위도 차이가 난다. 청와대는 지난 4일 문 행정관이 “청와대 근무 전 캠핑장에 갔다가 우연히 만나서 알게된 사이”라고 진술했다고 밝혔고 송 부시장은 이날 “서울 친구를 통해 알게 됐다”고 했다.

청와대가 제보자 신원을 밝히지 않았던 점도 의혹을 키웠다. 청와대는 지난 4일 내부 조사 결과 발표에서 제보자 신원을 밝히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 “인적 사항이 공개되면 제보자가 불이익을 받을 우려가 크다”고 설명했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누구인지 밝혔다면 불법이 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앞서 청와대가 제보자 당적을 묻자 “정당 소속은 아니었던 것으로 안다”고 답한 것을 놓고, 현재 송 부시장이 민주당 소속인 사실을 숨기려던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공방은 청와대가 받았다는 SNS 제보의 존재로 판가름 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날 청와대 관계자는 “(SNS 제보 내용과 문 행정관이 편집·요약한 문건) 두 문서를 당연히 확인했다”고 말했고 이날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송 부시장의 동의가 있다면 원문을) 공개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조형국·유희곤 기자 situation@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신문 최신기사

▶ 기사 제보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