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1인 가구 포함하면 3분기 소득격차 정부 발표보다 더 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1인 가구'를 포함할 경우 소득 격차는 1인 가구를 제외한 공식 지표보다 훨씬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이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1인 가구를 포함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소득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것)은 올해 3분기 기준으로 6.46배로 파악됐다. 처분가능소득은 세금·사회보험료 등을 빼고 실제 손에 쥐는 돈을 말하며, 균등화는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을 가구원 수를 고려해 나눠준 것이다.

반면 통계청이 공식 발표하는 5분위 배율은 1인 가구를 뺀 '2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산출하는데, 3분기 수치가 5.37배였다. 1인 가구를 포함할 경우 전체 가구의 실제 빈부 격차는 공식 통계보다 1.09배포인트 높은 셈이다. 또한 1인 가구를 포함한 5분위 배율은 지난 2년간 0.43배포인트 상승(6.03→6.46배)했는데, 이는 2인 이상 가구 기준 5분위 배율 상승치 0.19배포인트보다 훨씬 높다. 특히 기초연금·아동수당 등 정부 지원금을 제외한 균등화 시장소득을 기준으로 할 경우엔 5분위 배율이 무려 13배를 넘었다. 올해 3분기 1분위의 시장소득(1인 가구 포함)은 월평균 39만7698원으로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3분기(48만2559원)보다 8만4861원(17.6% 감소)이나 줄었다. 이에 비해 고소득층 형편은 계속 나아져 올해 3분기 월평균 시장소득이 529만8524원에 달했다. 5분위 배율이 무려 13.3배나 되는데 2년 전(9.9배)보다 3.4배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추경호 의원은 "현금 복지를 대폭 늘려서 1분위 소득을 찔끔 올려놓고 '소득 불평등이 개선됐다'고 하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며 "1분위 시장소득 참사를 일으킨 경제정책을 폐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섭 기자(oasis@chosun.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