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경기침체 여파… 부실징후 기업 지난해보다 20곳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실 징후가 있어 구조조정 수술대에 오르게 될 기업이 지난해보다 20곳 늘어났다. 주로 경기침체로 인해 중소기업의 영업 실적이 악화된 결과다.

12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평가에서 CㆍD등급을 받아 부실징후기업으로 지정된 곳은 모두 210곳으로, 지난해보다 20곳 늘었다. 이 중 201곳이 중소기업이었고, 대기업은 9곳이었다.

올해 부실징후기업 지정은 은행권이 국내 기업 가운데 재무제표상 경영 위험이 감지된 3,307곳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위험 감지 기업 수는 지난해(2,952곳)보다 350곳 이상 늘었다.

대기업의 경우 올해 들어 조선업 등 주요 업종의 구조조정이 마무리되면서 부실징후기업 수가 지난해(10곳)보다 감소한 반면, 중소기업은 실적 악화로 지난해(180곳)보다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35곳) 부문의 부실징후기업이 가장 많았고 이어 부동산(19곳), 자동차부품(17곳), 금속가공(17곳), 도매ㆍ상품중개(14곳) 등의 순이었다.

부실징후기업에 들어간 금융권 대출금액은 모두 3조3,000억원이었는데 은행권 공급이 2조4,000억원으로 70% 이상을 차지했다. 다만 금융당국은 국내 은행들의 손실흡수 능력을 감안하면 부실징후기업에 공급된 자금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금융당국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된 곳들에 대해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 신속한 경영정상화 방안을 유도할 방침이다.

장재진 기자 blanc@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