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중기중앙회-한국노총 TF 신설, 대기업 갑질 막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왼쪽)과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은 16일 서울 은행로 중기중앙회에서 만나 간담회를 열고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생태계 정착을 위한 공동사업을 협의했다.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합의해서 대기업 불공정 거래 해소하고 중소기업상생을 만들자.”(김기문 중기중앙회장)

“중기중앙회와 한노총이 (대기업 불공정거래 막기 위해) 합의한 것 자체가 의미 있다.”(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김기문 중기중앙회장과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은 16일 서울 은행로 중기중앙회에서 만나 간담회를 열고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생태계 정착을 위한 공동사업을 협의했다. 두 단체가 손잡고 납품단가 후려치기, 일감 몰아주기 등 대기업 불공정거래 관행을 막기 위한 공동사업에 나선다는 내용이다.

김 회장은 “(이번 협의는) 민간 차원에서 사용자와 근로자 노동단체와 경제단체 간 의미 있는 합의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며 “한노총에서 중앙회에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을 두고 만난 건 환영하는 바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대, 중소기업 간 상생을 위해 노력해 중소기업 능력이 늘어나면 시간단축, 최저임금으로 인한 문제에서 노동자에게 혜택이 오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양 기관은 간담회를 계기로 중앙회-한국노총 산하에 공동 태스크포스(TF, 공동협의체)를 설치하고 △불공정거래 공동 실태조사 △신고센터 설치 △불공정거래 근절방안 공동연구 등 공동 사업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양 기관은 공동협의체를 통해 중기중앙회와 한국노총 산하 기업체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대기업 불공정거래 실태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조사를 통해 사례가 발굴되면 대기업의 불공정거래를 근절할 공동 연구조사를 추진한다. 양 기관에 각각 불공정거래 신고센터를 설치해 추가 사례도 수집할 계획이다.

이번 간담회는 이날 오전 중소벤처기업부와 공정거래위원회, 더불어민주당이 공동으로 발표한 대·중소기업 거래관행 개선 및 상생협력 확산 대책'에 따른 후속 조치다. 지난 10월 김 회장이 직접 김 위원장을 만나 제안했던 ‘노·사 상생협력 방안’ 연장선이기도 하다.

김 회장과 김 위원장은 간담회 모두 발언을 통해 대기업 불공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했다. 김 회장은 “국내 기업 0.3%인 대기업이 64% 이익을 독점하고 있다”며 “(상생을 위해) 다른 경제단체 특히 대기업이 속한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등과 접촉할 계획이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에서 중소기업 노동자가 기술혁신으로 원가 절감했는데 그 마저 (대기업이) 다 깎아먹는 다고 이야기했다”며 “한국노총 소속 근로자 87%가 중소기업 노동자다. (대기업) 1%가 대한민국 부(富)를 장악한 불공정을 개선하는 건 중요하다”고 했다.

한국노총은 지난해 기준 총 3571개 사업장으로 구성된 국내 양대 노총 중 하나다. 이 중 5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장이 1977개로 55.4%에 달한다. 50인 미만 사업장 1127개(31.6%)까지 더하면 87%의 조합원(3104개사)이 중소기업 종사자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