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7 (일)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대기업 진입 막았더니…中에 안방 내준 韓 드론 시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황시영 기자, 안정준 기자] [전문가들 "대기업 막고 보조금 푼 결과"…국내 드론 기업만 200여개·평균 매출 5억원으로 '영세']

머니투데이

국내 드론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완구·레저용 드론은 90% 이상이 DJI 등 중국산이다. 산업용 드론 시장에서도 60~70%가 중국산이다.

드론 시장이 꽃을 피우기도 전에 중국산에 안방을 내준 격이다. 업계는 △보조금 정책 시행 △대기업의 공공기관 발주 참여 금지가 원인이 된 것으로 보고 있다.

농가에서 드론을 구입하면 지방자치단체가 통상 약 50%를 보조금으로 준다. 지자체 보조금의 상당금액을 세계 최대 드론업체 중국 DJI가 가져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드론을 공공발주에서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으로 지정하면서 대기업을 배제한 정책도 국산 드론 경쟁력을 기르는 데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드론 기업 200여곳, 평균매출 5억원 수준=국내 드론 산업 기반은 취약하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 드론 제작업체 수는 200여 곳이고 평균 매출액은 5억원에 불과하다. 상위 20개 업체라고 해도 평균 고용 인원은 20명, 매출액은 27억원으로 영세한 실정이다. 차세대 드론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는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다 보니 중국 업체로부터 FCC칩·프로펠러 등 드론 핵심 부품을 그대로 들여와서 금형(틀·frame)만 달리해 외관을 다르게 생산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게다가 공공기관 입찰 참가 문턱이 높아 국내 중소 드론업체는 중국산에 고배를 마시고 있다.

중소기업이라도 조달 참여를 위해 드론 직접생산확인증이 필요하다. 기준을 충족시키려면 50㎡(15평) 이상 면적 제조시설을 확보해야 한다. 금형 장비, 컴프레셔를 포함한 10여 가지 생산·검사 시설을 갖춰야 한다. 임차 보유는 인정하지 않는다. 대표를 제외한 상시 근무자를 3명 이상 채용해야 한다.

한 드론업체 관계자는 "이 같은 시설을 다 갖추기도 어렵지만 워낙 중국 업체가 저가 공세를 펼치고 있어 경쟁이 어렵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두산의 연료전지가 적용된 드론이 농경지 관리에 활용되는 모습/사진=두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 발주에 외산 규제 없어…중국산 드론 범람=지난해 12월 정부는 공공부문에서 5년간 3700대의 드론 수요를 발굴해 우편물 배송이나 방역 등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또 공공기관 구매에서 중소기업 드론제품 구매를 '장려'하고 있다. 지난해 2월에는 드론을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으로 지정해 공공기관 발주에서 대기업 제품은 배제하고 있다. 하지만 외국산 구매는 특별히 규제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공공기관마저 중국산 드론을 쓰고 있다. 공공기관은 예산 부족을 이유로 국산 드론을 도입하기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가령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순찰·단속, 조난자 수색, 산불 감시, 식생·자원 모니터링에 사용하고 있는 60여 대의 업무용 드론은 모두 중국 DJI 제품이다.

DJI는 지난해 세계 시장에서 4조8000억원의 매출을 올릴 만큼 급성장중이다. 2016년 대비 80%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라 기술과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이 참여해 국내 드론 시장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강현우 항공안전기술원 드론안전연구팀장은 "드론 시장에서 중소기업이 성장할 때까지 정책적으로 뒷받침을 해줘야 한다"면서도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협업이 필요 하고, 이를 위해 대기업에 대한 규제를 풀어주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황시영 기자 apple1@, 안정준 기자 7up@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