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두 차례 대선 후보를 지냈던 안철수 전 바른미래당 의원이 2일 정계 복귀를 선언하면서 21대 총선을 불과 100여 일 앞둔 정치권에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새해 '보수 대통합'을 화두로 던진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유승민 새로운보수당 인재영입위원장 모두 안 전 의원에게 러브콜을 보내면서 그가 총선을 앞둔 야권 재편에 어떤 역할을 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안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이제 돌아가서 어떻게 정치를 바꿔야 할지, 어떻게 대한민국이 미래로 가야 하는지 상의드리겠다"며 정계에 복귀하려는 결심을 알렸다. 그는 2018년 6·13 서울시장 선거에서 3위에 그친 뒤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같은 해 9월 독일 유학길에 올랐고, 지난해 10월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현재 스탠퍼드대에서 수학하고 있다. 정계 복귀 선언은 그가 유학길에 오른 지 1년3개월 만이다.
안 전 의원이 4월 총선에 출마할지가 정가 관심사로 부상한 가운데 총선을 앞두고 야권을 재편하려는 움직임 속에 안 전 의원 선택이 총선 판도에 적지 않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정치권에서는 안 전 의원 복귀 시나리오를 크게 네 가지로 예상하고 있다.
우선 자신이 창당한 국민의당을 모태로 하는 바른미래당 복귀가 점쳐진다. 현재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반으로 쪼개진 당내 상황을 정리해 '제3지대 신당'을 재창당하겠다고 선언했고, 안 전 의원이 돌아오면 전권을 위임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바른미래당 내 이른바 '안철수계' 의원들이 유승민계가 주도하는 새보수당에 아직 합류하지 않고 바른미래당에 잔류해 있기 때문에 안 전 의원이 복귀한다면 가장 연착륙하기 쉬운 시나리오라는 평가다.
두 번째로 '공동창업주'인 유 위원장과 함께 바른미래당을 허물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경우 안 전 의원이 한국당을 중심으로 거론되는 '보수 빅텐트'에 참여할지 관심이 쏠린다.
보수 빅텐트를 주도하고 있는 황 대표는 그동안 수차례 "헌법 가치를 존중하는 모든 정치 세력과 열린 마음으로 함께할 것"이라며 안 전 의원에게 구애를 보내왔다. 특히 중도층 외연 확장이 최대 과제인 한국당으로서는 중도·실용 이미지가 확실한 안 전 의원의 도움이 절실하다. 한 한국당 중진 의원은 "안 전 의원이 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수도권 총선에서 3~5%포인트 득표력은 충분히 갖고 있다고 판단한다"며 "한국당이 수도권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안 전 의원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건은 안 전 의원이 한국당 손을 잡을지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에 사실상 한국당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세 번째로 지난해 말 여러 차례 러브콜을 보냈던 새보수당에 합류할 가능성도 있다. 하태경 새보수당 창당준비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안 전 의원이 추구했던 새 정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동안 바른미래당 내부에서 새보수당을 주도해온 유승민계와 안철수계가 당 정체성과 노선을 두고 갈등을 반복한 것이 새보수당 합류 걸림돌로 꼽힌다.
마지막으로 안철수계 의원들과 함께 '독자 신당'을 창당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선거법 개정안이 통과하면서 제3정당이 과거 총선 때보다 활로를 모색하기 쉬운 환경이 펼쳐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치적 위상과 국민 기대감이 8년 전 정계에 입문할 때보다 크게 떨어져 있어 독자 신당은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가운데 새로운 보수당 창당을 앞둔 바른미래당 유승민계 의원 8명이 3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식 탈당한다. 이로써 2018년 2월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합쳐 출범한 바른미래당이 1년 11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둘로 쪼개지게 됐다. 유승민 의원을 비롯해 정병국, 이혜훈, 오신환, 유의동, 하태경, 정운천, 지상욱 의원 등 8명과 함께 바른정당계인 권은희, 이준석 전 최고위원과 구상찬, 정문헌, 진수희, 이종훈 전 의원 등도 함께 탈당할 것으로 알려졌다.
[고재만 기자 /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