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총선 이모저모

'총선 넘어 대권까지'…黃·劉·安 '빅텐트' 주도권 신경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왼쪽부터)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유승민 새보수당 의원, 안철수 바른미래당 전 대표

4월 총선을 100일 남기고 보수 및 중도 진영 내 '빅텐트'를 치자는 야권발 정계개편 논의가 활기를 띠면서 통합 주도권을 둘러싼 물밑 다툼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총선 승리를 위한 통합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을 비롯해 새로운보수당,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의 정치세력, 신당을 준비 중인 무소속 이정현·이언주 의원, 우리공화당, 국민통합연대까지 통합 대상으로 거론되는 모든 세력이 각자 자신을 중심으로 한 통합을 꿈꾸고 있어서입니다.

우선 몸집이 가장 큰 한국당은 통합 논의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한국당이 바라는 통합은 다른 정당과 정치세력들이 '보수의 큰 집'에 모이는 통합입니다.

곧 황교안 대표 체제를 유지한 통합을 전제로 합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 대표는 오늘(6일) 최고위원회의에서도 '통합추진위원회' 구성을 공식화하면서 "자유민주주의 세력의 뿌리 정당인 한국당이 앞장서서 통합의 물꼬를 트겠다"고 밝혔습니다.

통합의 키를 자신이 쥐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황 대표는 통합 대상 세력들과 직·간접적인 접촉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달 30일 이언주 의원을 직접 만났다고 합니다.

당 핵심 인사들을 통해 새보수당과 우리공화당과도 통합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

홍문종 우리공화당 공동대표도 통화에서 한국당과 접촉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다만 그는 "우리공화당은 탄핵에 찬성한 김무성·유승민 의원과 함께 하는 통합은 절대 받아들이지 못하는 입장이지만, 비례전담 정당의 몫을 우리공화당에 주는 식의 연대는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당 핵심 관계자는 언론 통화에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정국에서도 통합 논의는 두루 추진하고 있었다"며 "황 대표가 이달 말까지는 통합해야 한다고 했으니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정치권에선 황 대표가 최근 '수도권 험지 출마' 카드를 꺼내든 것을 두고도 자신이 통합 보수진영의 중심에 서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황 대표가 직접 수도권 격전지의 한강벨트를 진두지휘 함으로써 총선에서 '보수의 바람'을 일으키고 총선 이후 보수진영 내 주도권을 계속 쥐겠다는 취지라는 해석입니다.

반면 새보수당과 안철수계는 한국당과는 다소 거리를 두는 분위기입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어제 공식 창당한 새보수당은 유승민 의원이 앞서 제시한 '보수 통합의 3대 원칙'(개혁보수·탄핵의 강 건너기·새집 짓기) 가운데 '새집 짓기'를 한국당이 받아들일 수 있을 지를 통합 성사의 최대 변수로 보고 있습니다.

황 대표가 개혁과 혁신을 보이는 차원에서 당권을 내려놓아야 통합비상대책위원회든 통합추진위원회든 참여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새보수당의 한 의원은 통화에서 "한국당 주도의 통합추진위에는 참여할 수 없다. 한국당의 노선과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 채 당 이름 정도만 바꾸는 것도 안 된다"며 "우리가 언급한 통합 3원칙에 대해 변죽만 울리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새보수당 내에서는 통합에 대한 한국당의 진정성을 의심하는 분위기마저 읽힙니다.

이혜훈 의원은 오늘 라디오 인터뷰에서 어제 창당대회에 한국당이 축하 화환을 보내지 않은 것을 두고 "실수라고 하긴 어렵다. 거대 정당이라 이런 것을 전담으로 챙기는 부서까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최근 황 대표가 유승민 의원을 '유 아무개'라고 지칭한 것에 대해서도 "황 대표가 마음에 갖고 계신 생각이 불쑥 밖으로 나온 것 아니겠느냐"며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 "새보수당이 변화와 혁신의 마중물이 되고, 새보수당 중심의 통합이 이뤄져야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계 복귀를 선언한 안철수 전 대표의 경우 당장 세 불리기만을 위한 한국당과의 '묻지마 통합'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정치 입문 후 꾸준히 중도·개혁 성향의 실용주의 정치를 주장해온 만큼, 귀국 후에도 '제3지대'에서 반문(반문재인) 연대를 주도하면서 양극단의 대결 정치에 신물이 난 국민의 표심을 사로잡겠다는 구상을 세우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처럼 통합을 둘러싼 보수·중도 진영 내 물밑 신경전의 이면에는 총선에서의 '공천 지분' 등 이해득실 계산은 물론이고, 총선 이후 정계 주도권까지 염두에 둔 치밀한 수 싸움이 깔렸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해석입니다.

총선에서부터 주도권을 잡아야 향후 보수 진영의 독보적 대권 주자로 올라서는 데 유리한 고지를 점령할 수 있다는 점에서입니다.

국민통합연대 집행위원장인 이재오 한국당 상임고문은 통화에서 "국민통합연대에서 각 보수정당 연석회의를 하자는데 한국당이 참여하면 된다. 한국당이 똑같은 제안인 통추위 구성을 말할 이유가 무엇인가. 결국 주도권을 놓지 않겠단 얘기"라며 "그 속이 빤히 보이는데 보수진영 사람들이 흔쾌히 참여할 리 있나"라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ykyou@sbs.co.kr)

▶ 본격 뉴스 배달쇼! 팔보채
▶ SBS가 고른 뉴스, 네이버에서 구독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