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지난해 고궁·조선왕릉 관람객 역대 최다 1338만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완연한 가을 날씨가 이어지고 있는 9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을 찾은 시민 및 외국인 관광객들이 고궁을 거닐며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4대 궁과 종묘, 조선왕릉을 찾은 관람객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지난해 경복궁·창덕궁·창경궁·덕수궁과 종묘, 조선왕릉 관람객이 약 1338만명으로 집계됐다고 6일 전했다. 이는 기존 최다였던 2016년 1304만4458명을 넘어선다. 2018년 1136만2000여명보다는 17.8% 늘었다.


궁능유적본부는 관람객이 증가한 요인으로 궁궐 전각 개방 확대, 양주 온릉 개방, 창경궁 상시 야간 개방, 외국어 해설사 확충, 외국인 대상 행사 확대, 다자녀 가족 입장료 감면 등을 꼽았다.


연간 관람료 총수입은 약 120억2564만원. 2016년 약 164억3247만원보다 44억원가량 적다. 궁능유적본부는 “무료로 입장한 사람이 많이 증가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관람료는 궁·능 환경 개선 등에 사용한다.


아시아경제

11일 서울 종로구 경복궁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들과 시민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문화재청은 제74주년 광복절을 맞아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창경궁 등 4대궁과 종묘, 조선왕릉을 오는 25일까지 무료로 개방한다./윤동주 기자 doso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관람객이 많이 방문한 고궁은 경복궁(약 534만명), 덕수궁(약 241만명), 창덕궁(약 178만명), 창경궁(약 87만명) 순으로 조사됐다. 종묘를 찾은 관람객은 약 47만명이었다.


조선왕릉 중에서는 세종과 효종 무덤이 있는 여주 세종대왕유적관리소 방문객이 가장 많았다. 약 41만명이다. 서울 강남구에 있는 선정릉은 약 38만명, 고양 서오릉은 약 33만명, 화성 융건릉은 약 33만명으로 각각 조사됐다. 전체 조선왕릉 관람객은 약 251만명이었다.


고궁·종묘·조선왕릉을 돌아본 외국인은 약 257만명이었다. 전년보다 21.2% 증가했다. 중국어권 관람객이 100.4% 늘었고, 동남아시아와 기타 언어권 관람객도 18.8% 많아졌다. 궁능유적본부는 “영어권과 일본어권 관람객 수는 다소 줄었다. 중국어권 관람객 수가 영어권 관람객 수를 앞질렀다”고 전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