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이슈 총선 이모저모

'동지'에서 '맞수'로…충북 운동권 출신 총선 후보 이색대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주 상당구 김형근-이현웅, 서원구 이장섭-이광희 공천 경쟁

(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1980년대 충북 지역 민주화 운동을 이끌던 인사 다수가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동지'가 아닌 '맞수'로 격돌한다.

연합뉴스

김형근(왼쪽) 전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장과 이현웅 전 한국문화정보원 원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12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청주시 상당구에서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로 등록한 김형근(60) 전 한국가스안전공사 사장은 1980년대 도내 민주화 운동의 1세대로 꼽힌다.

충북대 78학번인 그는 1986년 출범한 충북민주운동협의회 사무국장으로 약 4년간 이 단체를 이끌었다

이 단체의 출범은 당시 지역 민주화 운동 촉발의 계기가 됐다.

김 전 사장은 이때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기소돼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기도 했다.

이후 충북민족민주운동연합 정책실장, 통일시대국민회의 충북연대 운영위원장 등을 맡으며 단체 활동을 이어간 김 전 사장은 2003년 열린우리당 국민참여팀장을 시작으로 정계에 입문한 뒤 2010∼2012년 충북도의회 의장을 지냈다.

김 전 사장과 당내 공천 경쟁에 나선 이현웅(50·88학번) 전 한국문화정보원 원장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마지막 세대로 분류된다.

이 전 원장은 1991년 충북대 총학생회장으로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충북지구 의장을 맡았다. 당시 학생운동에 따른 2년의 수감생활로 제적되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 때문에 재입학해 8년 만인 1996년 학사모를 쓴 그는 이후 한국과학기술원(KAIST)·한국개발연구원(KDI) 소속 연구원으로 일하며 도시정책 전문가로 새로운 길을 걸었다.

청주시 서원구에서는 충북대 82학번 동기인 이장섭(56) 전 충북도 정무부지사와 이광희(56) 전 충북도의원이 민주당 공천을 놓고 맞대결을 펼칠 전망이다.

연합뉴스

이장섭(왼쪽) 전 충북도 정무부지사와 이광희 전 충북도의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최근 민주당의 총선 예비후보 3차 검증에서 서원구를 선택한 이 전 부지사는 충북민주운동협의회와 청주민주운동청년연합에 몸담았다. 두 단체에서 각각 상임위원과 사무국장으로 활동했다.

군 제대 후 이 전 부지사보다는 다소 늦게 학생운동에 뛰어든 이 전 의원은 청주민주운동청년연합 의장을 지냈다. 이 단체의 활동 시기가 이 전 부지사와 겹치지는 않는다.

정계에서도 이 전 부지사는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의원 시절 보좌관으로 중앙 정치 무대에서 활동한 반면 이 전 의원은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거쳐 지방의원으로 일해 무대가 달랐다.

하지만 같은 대학 출신의 동기, 같은 단체에서 활동한 운동권 출신이라는 점에서 두 사람의 대결은 더욱 이목을 끈다.

서원구에는 유행열(55)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이 등판할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충북대 84학번인 유 전 행정관은 학생운동을 하다 1986∼1987년 집시법 위반으로 두 차례 구속됐고, 1989년에는 충북대 총학생회 회장으로 전대협 3기 중앙위원 활동을 했다.

유 전 행정관은 민주당 예비후보 자격 심사에 참여했으나 '미투(Me Too·나도 당했다는 의미) 논란'으로 인해 출마 가능성이 불확실하다.

유 전 행정관은 2018년 6·13 지방선거에서 청주시장 예비후보로 나섰다가 '유 전 행정관이 1986년 대학 후배를 성폭행하려 했다'는 폭로가 나와 중도 포기했다.

유 전 행정관은 '사실무근'이라며 지난해 10월 폭로자 등 6명을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했고, 상대측은 최근 유 전 행정관을 무고·명예훼손죄로 맞고소한 상태다.

jeonc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