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美내무부, 中 관련 민간드론 1000기 영구 금지…데이터 유출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용 들고 조종사 위험' 우려에도 사용 중단 결정

이미지 유출 우려…산불 진압, 훈련 등에는 사용

뉴시스

[베이징=AP/뉴시스] 지난해 9월21일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70주년 기념 행사를 앞두고 베이징의 한 거리에서 군용 차량이 드론으로 보이는 물체를 싣고 이동하고 있다. 2020.01.13.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미국 내무부가 중국산 부품을 우려해 민간용 드론(무인기) 1000기의 사용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1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FT가 소식통 2명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 내무부는 중국이 스파이 행위에 사용할 위험이 높다는 판단에 따라 드론 약 1000기를 영구 금지하기로 했다. 드론 편대를 철수하는 데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들고 유인 항공기 사용 시 사고 위험도 있다는 부서 직원들의 광범위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결정이 내려졌다고 한다.

FT에 따르면 데이비드 번하트 내무장관은 아직 민간용 드론 철수 정책에 최종 서명하지는 않았지만, 산불 진압이나 훈련 같은 비상시를 제외하면 사용을 중지하기로 마음을 굳혔다.

내무부는 산불을 다루고 지형의 지도를 그리고 천연자원을 모니터하는 데 드론을 사용한다.

중국산 민간 드론은 최근 미 정부의 주요 보안 우려 사항으로 꼽힌다. 해당 드론이 촬영한 이미지 자료에 중국이 접근할 수 있어서다.

미군은 이미 중국 기업 DJI가 제조한 드론의 사용을 금지했다. DJI는 세계 민간용 드론의 70% 이상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미 의회는 연방정부가 중국산 드론을 구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논의하고 있다.

내무부의 드론 중 121기는 중국 기업인 DJI가 만들었다. DJI대변인은 "새로운 정책을 보진 못했지만, 드론 기술의 광범위한 원산지와 관련한 믿을만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관리들에 따르면 100% 미국이 만든 드론이 나오는 데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몇몇 서방 기업들은 이미 소비자 시장에서 DJI를 따라잡으려다가 실패했다고 인정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